[초등과학 공부법 3-2] 2. 지표의 변화 - 지표란? 침식이란? 퇴적이란?
초등과학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초등과학 공부는 100점 맞기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니, 적당히 하는 게 좋습니다.
과학도 주요 과목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국영수 다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현실이 그렇습니다.
국영수 다지기에 과학 100점까지 공부하는 건,
아이에게 너무 큰 부담을 주는 공부입니다.
대신 교과서 핵심 내용만큼은 제대로 공부해야 하는데요.
<3-2 과학 대단원>
* 재미있는 나의 탐구
1. 동물의 생활
2. 지표의 변화
3. 물질의 상태
4. 소리의 성질
'2. 지표의 변화' 단원의 핵심 내용 중 하나는 '지표, 침식, 퇴적' 입니다.
그리고 초등과학 홈스쿨링에 도움 되도록 교과서 핵심 내용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초등학교 교과서 종류도 여러가지가 되면서,
교과서별로 내용 차이가 좀 있기는 한데요.
핵심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고요.
이 단원의 핵심 내용은 이런 내용입니다.
흐르는 물은 바위나 돌, 흙 등을 깎아 낮은 곳으로 운반해 쌓아 놓습니다. 지표의 바위나 돌, 흙 등이 깎여 나가는 것을 침식 작용이라고 하며, 운반된 돌이나 흙이 쌓이는 것을 퇴적 작용이라고 합니다.

'지표'란 무엇일까요?
* 지표 : 땅 지(地) + 겉, 거죽 표(表)
지표에서 '지'는 '땅 지' 이고요.
'표'는 '겉 표' 입니다.
한자의 뜻만 보면 '땅의 겉면'이 지표인데요.
지구의 표면 또는 땅의 겉면이 지표입니다.
'침식'이란 무엇이고 '퇴적'이란 무엇일까요?
* 침식 : 잠길 침(浸) + 갉아 먹다 식(蝕)
* 퇴적 : 쌓을 퇴(堆) + 쌓을 적(堆)
즉, 땅의 겉면에 있는 바위나 돌, 흙 등이 물에 의해 깎여 나가는 것이 '침식 작용'이고요.
땅의 겉면에 돌이나 흙이 쌓이는 것이 '퇴적 작용'입니다.
그리고 침식 작용은 강 상류에서 활발하게 일어나고요.

퇴적 작용은 강 하류에서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교과서 핵심 내용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강 상류는 강 하류에 비해 강폭이 좁고 강의 경사가 급합니다.
강 상류에서는 바위를 많이 볼 수 있고, 강 하류에서는 모래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강 상류에서는 퇴적 작용보다 침식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강 하류에서는 침식 작용보다 퇴적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그리고 바닷가 주변에는 침식 작용이 만든 지형도 있고, 퇴적 작용이 만든 지형도 있습니다.
바닷가 지형은 바닷물의 작용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조금씩 변합니다.

위 내용이 교과서 핵심 내용이고요.
위 내용만 제대로 공부하면 됩니다.
"초등 과학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고 질문하신다면 이렇게 답변드립니다.
"교과서부터 제대로 공부해야 합니다. 교과서 공부만 제대로 하면 80% 이상이 해결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