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공신 교육/독서 문해력 논술

[독서논술] 초등 때 독서논술, 무엇부터 해야 하나?

by 행공신 2024. 11. 23.
728x90
반응형
SMALL

[독서논술] 초등 때 독서논술, 무엇부터 해야 하나?

 

 

거의 대부분의 집에서 아이 독서를 진행합니다.

빠르면 유아, 늦어도 초등 저학년 때부터는 독서에 신경을 쓰는데요.

 

초등독서논술은 어떨까요?

초등 때 독서논술이라고 하면 어떤 의미일까요?

독서와 논술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하는 게 좋을까요?

 

 

 

 

반응형

 

 

'초등독서논술' 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진 이유는 몇 가지인데요.

 

첫째, 논술이 중요해졌다는 뜻이고요.

둘째, 논술이 어렵기 때문에 독서부터 잘 해야 한다는 뜻이고요.

셋째, 초등 때 독서부터 잘 해야 하고, 혹시 잘 하면 논술도 시작하라는 뜻입니다.

 

위 3가지 이유 때문에 '초등독서논술' 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위 내용은 앞으로도 똑같이 적용될까요?

이에 대해 정확히 판단하려면, 앞으로 적용될 2028년 대입개편안을 잘 파악해야 하고요.

 

2024년 기준으로 중3부터 초등 4학년까지 적용되는

2028년 대입개편안을 기준으로 점검해 보겠습니다.

 

첫째, 앞으로도 논술이 중요한가?

중요합니다. 단, 일반논술이 아니라 내신논술이 1순위입니다. 논술의 문제 유형이 달라집니다.

 

둘째, 내신논술도 독서를 잘 하면 많이 해결된다?

반만 맞습니다. 독서로 한글 문해력을 잘 기른 후, 과목별 교과서 공부도 제대로 해야 합니다.

 

셋째, 초등 때 논술도 시작해야 하나?

대부분의 아이들은 그럴 필요도 없고, 되지도 않습니다.

위 둘째에서 강조한 '한글 문해력과 교과 공부 제대로' 부터 잘 하는 데 집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초등독서논술' 이라고 하면,,

웬지 중요하고, 잘 하면 많이 좋을 거 같고, 초등 때 꼭 해야 할 것처럼 생각됩니다.

하지만 막연한 생각으로 결정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위에서 논술의 1순위는 '내신논술' 이라고 했습니다.

교육부에서 중등과 고등 내신논술을 더 강화하겠다고 했고요.

심지어 수능에도 서술형 논술형 문제 출제를 계속 시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내신논술은 독서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독서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과목별 교과 공부를 제대로 하는 것입니다.

 

즉, 내신논술은 '독서와 과목별 공부' 모두를 잘 해야 하는 논술입니다.

그래서 기존의 초등논술 학원이나 프로그램이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진짜 잘 확인해야 합니다.

 

 

 

 

 

그럼, 초등 때에는 내신논술 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등 저학년> 우선 독서부터 잘 해야 합니다.

<초등 중학년> 독서 꾸준히 하면서 국영수에 집중해야 합니다.

<초등 고학년> 사회, 과학, 한국사 교과서 공부는 충실히 해야 합니다.

 

아이의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좋다고 해서 이것 저것 다 시키면 자칫 모든 것을 놓칠 수 있습니다.

 

초등독서논술 학원에 보내려 하신다면,

목적과 방법과 효과를 아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칫 시간과 노력과 에너지와 비용을 비효율적으로 쓰게 될 수도 있으니까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