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공신 교육/영어공부법

[초등기초 영어문법] be동사 부정문 만들기, 의문문 만들기 (영문법 기초)

by 행공신 2024. 11. 4.
728x90
반응형
SMALL

[초등기초 영어문법] be동사 부정문 만들기, 의문문 만들기 (영문법 기초)

 

 

이전 포스팅에서 be동사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했는데요.

간단히 복습을 하고, 이번에는 be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복습입니다.

 

보통 동사들은 의미가 정해져 있습니다.

​eat ⇒ 먹다

like ⇒ 좋아하다

learn ⇒ 배우다

그런데 아래 문장을 보면 동사 'am, are, is'는 의미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말로 해석할 때에는 '~이다, ~다, ~있다' 등으로 해석되는데요.

 

I am a student. ⇒ 나는 학생이다.

You are very pretty ⇒ 너는 매우 예쁘다.

He is on the bus. ⇒ 그는 버스에 있다.

She is in the room. ⇒ 그녀는 방에 있다.

We are very happy. ⇒ 우리는 매우 행복하다.

It is broken. ⇒ 그것은 부서졌다.

'~이다, ~다, ~있다' 라는 의미의 동사라기보다는, 영어를 우리말로 해석하면서 '~이다, ~다, ~있다' 로 읽히는 것입니다. 이런 동사들을 Be동사 라고 합니다.

 

Be동사를 쓰지 않으면, 말을 하다가 멈춘 게 되거든요.

(예) I a student. ⇒ 나는 학생 ⇒ 학생이다? 학생이 아니다? 학생이고 싶다? 학생이 될 것이다?

 

 

 

반응형

 

 

초등 영어문법 내용을 보면 be동사가 무엇인지에 대해 배운 다음에는 be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이 나오는데요.

'부정문'이란 뭘까요?

 

부정문 : 주로 주체의 무능력이나 외부의 원인 때문에 그 행위가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표현한다.

* 부정문 : 아닐 부(否) + 정할 정(定) + 글 문(文)

설명이 좀 어려운데요. 예를 들면 쉬워집니다.

 

나는 바나나를 좋아한다. ⇒ 긍정문

나는 바나나를 좋아하지 않는다. ⇒ 부정문

 

 

 

그리고 be동사가 있는 영어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예를 보겠습니다.

 

I am hungry. 나는 배고프다.

I am not hungry. 나는 배고프지 않다.

 

You are pretty. 너는 예쁘다.

You are not pretty. 너는 예쁘지 않다.

 

She is in the room. 그녀는 방에 있다.

She is not in the room. 그녀는 방에 없다.

 

즉, be동사 뒤에 not 을 쓰면 부정문이 됩니다.

 

 

그리고 [be동사 + not] 은 이렇게 간단하게 줄여 쓰기도 합니다.

 

I am not ⇒ I'm not

I am not hungry. ⇒ I'm not hungry.

 

are not ⇒ aren't

You are not pretty. You aren't pretty.

 

is not ⇒ isn't

She is not in the room. She isn't in the room.

 

 

 

이제 be동사가 있는 영어문장을 의문문으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예를 보겠습니다.

 

You are hungry. ⇒ 너는 배고프다.

Are you hungry? ⇒ 너 배고프니?

 

She is pretty. ⇒ 그녀는 예쁘다.

Is she pretty? ⇒ 그녀는 예쁘니?

 

즉, be동사가 있는 영어문장을 의문문으로 만들려면 be동사를 문장의 맨 앞으로 보내고 문장 끝에 있는 마침표를 물음표로 바꿔야 합니다.

 

 

 

 

그리고 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이렇게 합니다.

 

Are you hungry? ⇒ 너 배고프니?

Yes, I am. ⇒ 응. (배고파.)

No, I'm not. ⇒ 아니. (배고프지 않아.)

 

Is she pretty? ⇒ 그녀는 예쁘니?

Yes, she is. ⇒ 응. (예뻐.)

No, she isn.t. ⇒ 아니. (예쁘지 않아.)

 

즉, 질문에 대한 대답이 긍정일 경우에는 <Yes, 주어 + be동사> 로 대답해야 하고요.

부정일 경우에는 <NO, 주어 + be동사 + not> 으로 대답해야 합니다.

 

 

 

위 문법 내용을 무조건 공식 외우듯이 암기하는 건 좋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여러 사례를 많이 보면서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

 

영어문법을 공부하는 시기가 우리 부모 때보다 더 빨라졌습니다. 심지어 초등학교 3학년 아이들도 영어문법 공부를 하기도 하는데요. 아이가 어릴수록 영어문법 용어(어휘) 때문에 어렵게 느낄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해지는 영어문법 공부, 잘 진행되시기 바라고요.

앞으로 적용될 2022 개정교육과정 대비법은 행공신 블로그, 자녀교육서, 온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전해 드리고 있습니다. 꼭 활용해 보세요. 많은 궁금증이 해결되실 거예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