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교육비 2위 과목은 수학입니다.
그만큼 아이들 공부에서 차지하는 수학 비중이 크다는 거죠.
그리고 중등과 고등 때 공부의 절반은 수학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수학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거죠.
전체 2위 수준으로 비용과 노력을 들이고, 중요성도 높게 생각하는 과목이 바로 수학입니다.
그런데 초등학교 6학년만 되어도 수포자가 절반 가까이 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왜 그럴까요? 사교육비 2위라는 건, 안 한다는 건 아닌데요.
이유는! '이상하게 하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이상하게 하는 수학 중 하나가 '연산 연습을 지나치게 많이 하는 것' 입니다.
초등 수학의 절반은 '수와 연산' 입니다.
그리고 초등 때 자연수, 분수, 소수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모두 나옵니다.
측정에서도 연산이 있습니다.
시간, 길이, 들이, 넓이, 무게 등에서도 덧셈과 뺄셈을 해야 합니다.
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것도 연산에 포함이 됩니다.
거의 매 학기마다 연산이 나오며, 분량도 적지 않고, 중요도도 높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초등수학' 하면 '연산'부터 떠오릅니다.
연산을 못하면 수학을 잘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연산을 잘 한다고 해서 수학을 잘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산을 못하면 문제 자체를 아예 풀 수 없기 때문에, 연산은 반드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연산을 잘 한다고 해서 모든 문제를 풀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전국 기준으로 수학 성적은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풀 수 있느냐에서 판가름이 납니다.
근데 난이도 상의 문제를 틀리는 이유는 연산 때문보다는 문제 자체를 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대학 입학을 좌우하는 고등 수학에서 연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초등 때와 비교했을 때 반의 반의 반도 되지 않습니다. 세 자리는 커녕 두 자리 곱셈과 나눗셈도 거의 나오지 않으니까요.
정리하겠습니다.
연산은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근데 할 수만 있으면 됩니다. 굳이 아주 잘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연산의 핵심은 '잘 하기' 가 아니라 '필요한 만큼만 연습하기' 입니다.
게다가 연산 연습은 재미가 없습니다.
할 수 있게 되었는데 더 하라고 하면 문제 푸는 재미도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재미 없는 것인데, 자꾸 하라고 하니까 지겹고 집중력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그러면서 실수도 반복되고, 점점 수학 공부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수포자를 향해 가는 거죠...
이 기준으로 봤을 때 연산 학습지나 단계가 세분화 되어 있는 연산 교재는 분량이 너무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아이 수학 공부에서 연산 연습보다는 문장제 문제 푸는 시간이 더 많아야 하고요.
난이도 중급, 중상급, 상급 문장제 문제를 풀어내야 진짜 수학을 잘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수학 공부 잘 하기를 바라시나요?
그렇다면 연산은 필요한 만큼만 연습하게 하시고요. 내신 문제해결력을 잡기 바랍니다.
개념 공부부터 제대로 하고, 연산 필요한 만큼 연습하면서 내신 문장제 문제를 난이도 중, 중상, 상 수준까지 풀어내야 진짜 수학을 잘 하게 됩니다.
하나 더 있습니다!
2022 개정교육과정으로 초중고와 대입 모두 서술형 논술형 문제가 강화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수학도 문제 해결 과정을 서술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구체적이고 자세한 대비 방법은 아래 강좌와 책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참고하셔서 '이상한 수학' 의 길로 가지 마시고 '제대로 수학' 의 길을 잘 찾으시기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닷!!
코로나 이후 사회와 2022 개정교육과정 대비 <현명한 자기주도 초등 공부법>
https://blog.naver.com/jnanna89/222585583600
[강의 안내] 현명한 자기주도 초등공부법 1개월 자유수강권 안내
올해(2021년) 기준으로 초등학생들은 2022 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특히 핵심은 초중...
blog.naver.com
<행공신 출간 도서 목록>
'행공신 교육 > 학습코칭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칭법] 이상한 초등수학공부 사례 2 - 사고력 수학을 1순위로 하는 경우.. (0) | 2022.03.31 |
---|---|
[4차 산업혁명] 우리나라의 첨단기술 분야는 괜찮을까? (1) (0) | 2022.03.26 |
[4차 산업혁명] 미래사회, 우리나라 자원 문제 괜찮을까? (0) | 2022.03.19 |
[코칭법] 공부 쭉 잘 할 아이와 중학교까지만 잘 할 아이 구분법 (0) | 2022.03.17 |
[4차 산업혁명] 미래사회, 우리나라는 어느 정도로 심각할까? (0) | 2022.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