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연등회2 [초등한국사 공부법] 76. 고려 - 연등회란 뭘까? (한능검 대비) 고려 때 '연등회' 라는 행사가 있었습니다. 뭐 하는 행사일까요? * 연등회 : (불이)탈 연(燃) + 등잔 등(燈) + 모일 회(會) ⇒ 불이 붙은 등잔을 들고 모이는 행사 그러면 이런 거네요. 맞기는 한데요. 왜 모였을까요? 뭐 할려고? 부처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기를 함께 기원하려고 모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양한 종교를 믿습니다. 불교, 기독교, 천주교, 이상한 교 등등 그런데 고려 때에는 거의 대부분 불교를 믿었습니다. 그래서 고려 사람 모두가 모여 부처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기를 기원한 것입니다. 그리고 맛있는 음식도 먹고, 음악도 연주하고, 춤도 추고, 연극도 보면서, 임금과 신하와 백성들이 다 함께 즐기는 국가 차원의 축제였습니다. 대충 알겠네요. 근데 왜 연등을 밝혔을까.. 2022. 10.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9. 고려 - 민족 문화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고려 (어려워서 최대한 쉽게~) 1. 지방 호족들도 정치에 참여한 고려! 신라 때 왕 다음으로 높은 신분은 귀족이었어요. 신라의 귀족들은 나라에서 땅도 받았고요. 높은 벼슬자리도 차지했어요. 신라의 왕과 귀족들은 대부분 도읍인 금성(경주)에서 지냈고요. 그래서 신라 때 나랏일을 하는 관리들은 도읍인 금성(경주)에 모여 있었답니다. 그런데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변화가 생겼어요. 왕건은 삼국을 통일할 때 지방 곳곳의 힘 있는 호족 집안들과 29번이나 결혼을 했죠. 여러분이 왕건의 아들, 딸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왕의 아들이고 딸이면, 왕자랑 공주네요. ^^ 여러분에게 가장 소중한 가족은 누구인가요? 부모님이죠! 그 다음으로 소중한 가족은 할아버지, 할머니, 이모, 고모, 삼촌이죠. 고려의 왕자와 공주의 외할아버지들이 지방 곳곳에.. 2022. 6.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