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초등학교1학년수학19 [초등수학 1-1] 1학년 1학기 수학 실력 확인하기 (2) 수학의 핵심은 연산이 아닙니다. 핵심은 문제해결력이고요. 결국 문제해결력에서 승부가 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시험에서 문제해결력이란, 내신 서술형 주관식 문장제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입니다. 앞으로 적용될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서술형 문제를 더 강조하기 때문인데요. 단, 초등학교 때 평가 기준은 학교 시험이 아닙니다. 전국 기준으로 내 아이의 문제해결력을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문제들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 문제들 중 난이도 상 문제 사례입니다. 아래 문제를 풀고, 이유까지 설명하면 전국 기준 상위 10% 이내일 가능성이 높고요. 답은 구하지만 설명을 잘 못하면 10% 이내일 가능성이 높지 않고요. 문제는 대충 이해하지만 답을 구하지 못하면 상위권은 아닐 수 있고요. 문제 .. 2022. 5. 13. [초등수학 1-1] 1학년 1학기 수학 실력 확인하기 (1)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은 5개 대단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들에서 각 대단원별로 교과서 공부의 핵심 내용을 정리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등수학 1학년 1학기 진짜 실력을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하려 합니다. 반복해서 강조하는데요. 한번 더 강조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수학을 잘 한다는 것은 연산 잘 하는 거 아니고요. 사고력 수학 잘 하는 거 아닙니다. 교과서 공부 제대로 하고, 내신 문제 중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잘 푸는 것이 수학 잘 하는 것입니다. 이공계(이과) 극상위권 소수 아이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난이도가 높은 내신 문제를 풀 수 있으려면 먼저 난이도 중간 정도의 내신 문제를 충분히 풀어봐야 합니다. 다만, 이 때 '충분히'의 양은 아이마다 다소 차.. 2022. 4. 12. [초등수학 1-1] 5. 50까지의 수 - '10(십) 개념' 계란판으로 제대로 이해하기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 목차는 이렇습니다. 1. 9까지의 수 2. 여러 가지 모양 3. 덧셈과 뺄셈 4. 비교하기 5. 50까지의 수 이 중 '5. 50까지의 수' 단원에서 '십' 이 나오는데요. '십'은 초등 1학년 수학에서 최고로 중요한 내용입니다. 근데 '10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한 아이들이 그리 많지 않고요. 내 아이가 '10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를 파악하고 계신 부모님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10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계란판 활용을 추천합니다. 꼭 계란판으로 해야 하는 건 아니고요. 그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열심히 정리해 봤습니다. ^.^ 유치~초등 수학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0(십)' 개념 학습입니다. 그런.. 2022. 3. 22. [초등수학 1-1] '5. 50까지의 수' 가장 중요한 '십의 개념' 등장!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 목차는 이렇습니다. 1. 9까지의 수 2. 여러 가지 모양 3. 덧셈과 뺄셈 4. 비교하기 5. 50까지의 수 이 중 '5. 50까지의 수' 단원에서 '십' 이 나오는데요. '십'은 초등 1학년 수학에서 최고로 중요한 내용입니다. 근데 제대로 잘 공부한 아이들이 그리 많지 않고요. 내 아이가 '십'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계신 부모님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근데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잘 정리해 놓았으니까요! ^.^ 본격적인 수학 학습은 '수와 연산'으로 해야 합니다. 0~9 숫자의 개념을 제대로 학습해야 하고요. 십, 백, 천, 만 각각의 개념을 제대로 학습해야 하고요. 자릿값의 원리를 제대로 학습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릿값 원리 학습의 출발.. 2022. 3. 1. [초등수학 1-1] '4. 비교하기' 교과서 내용은 쉬워요~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 목차는 이렇습니다. 1. 9까지의 수 2. 여러 가지 모양 3. 덧셈과 뺄셈 4. 비교하기 5. 50까지의 수 이 중 '4. 비교하기' 단원은 측정 영역 단원인데요. 교과서 내용은 쉽습니다. 그래서 지나친 예습은 불필요한 공부일 수 있습니다. 필요한 만큼만 하게 하세요~ 일단 교과서부터 보세요. 초1 때부터 길이, 무게, 넓이, 부피가 나와요. 근데 쉽습니다. ^^ '측정의 기본은 길이, 무게, 넓이, 부피를 측정하는 것' 입니다. 이들을 측정하려면 단위의 개념과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길이 측정을 하려면, mm, cm, m, km 각각의 개념을 알아야 하고요. 10mm = 1cm, 100cm = 1m, 1000m = 1km 임을 알아야 합니다... 2022. 2. 18. [초등수학 1-1] 3. 덧셈과 뺄셈 단원 교과서 공부의 핵심은 무엇?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 목차는 이렇습니다. 1. 9까지의 수 2. 여러 가지 모양 3. 덧셈과 뺄셈 4. 비교하기 5. 50까지의 수 이 중 '3. 덧셈과 뺄셈' 단원에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은 무엇일까요? 이 단원에서 '5 + 3 = ' 이나 '8 - 5 = ' 등의 연산을 느리지 않게 그리고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기본 공부 목표이고요. 거의 대부분의 아이들이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단원에서 진짜 핵심은 다른 것입니다. 5 + 3 = 위 수식은 무슨 뜻인가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하고요. 8 - 5 = 위 수식은 무슨 뜻인가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 3 = 이 수식은 "(무언가가) 5개.. 2022. 2. 8. [초등수학 1-1] 초1 도형을 가베, 은물로 대비하면 좋을까? 초등 수학 5개 영역 중 하나는 '도형' 입니다. 그리고 초등 1학년 1학기 수학에 입체도형이 나옵니다. (초1 때부터 입체도형? 헉!!!) 1. 9까지의 수 2. 여러 가지 모양 ⇒ 입체도형 등장 3. 덧셈과 뺄셈 4. 비교하기 5. 50까지의 수 그래서 유치 때 가베나 은물로 도형 대비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꼭 그렇게 해야 할까요? 초등 1학년 입체도형 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초등 1학년 도형은 가베나 은물로 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래 교과서를 보면 금방 알 수 있는데요. 초등 1학년 1학기 때 입체도형이 나오기는 하지만, 각 도형의 이름도 나오지 않고요. 개념 학습도 하지 않습니다. 그럼 뭘 할까요? 같은 모양 찾기, 굴리기, 쌓기, 입체도형을 이용해 만.. 2022. 1. 21. [초등수학 1-1] 1. 9까지의 수 단원 교과서 공부의 핵심은 무엇?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교과서 목차는 이렇습니다. 1. 9까지의 수 2. 여러 가지 모양 3. 덧셈과 뺄셈 4. 비교하기 5. 50까지의 수 이 중 첫 번째 단원은 '1. 9까지의 수' 인데요. 이 단원 교과서 공부에서 핵심은 무엇일까요? 우선 1~5 그리고 6~9 각각의 개념이 나옵니다. 거의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인데요. 숫자를 보고 손가락을 쓴다면, 알지만 아직 충분히 익힌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실생활에서 '3은 ●●●만큼, 4는 ●●●●만큼'이라는 것을 자꾸 익히게 해 주세요. 그 다음에는 순서수가 나옵니다. 3은 '셋' 일 수도 있고 '셋 중 세 번째에 있는 하나' 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에 있는 하나'를 '셋째' 라고 부릅니다. '하나, 둘, 셋' 과 '첫째.. 2022. 1. 11.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