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홈스쿨링53

[초등수학 홈스쿨링 4-2] 4. 소수의 곱셈 - 연산 말고 문제해결력이 핵심!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의 4번째 단원은 '4. 소수의 곱셈' 인데요. 이 단원에서 핵심은 연산이 아니라 내신 문제해결력입니다. ​ 물론 느리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만큼은 연산 연습을 해야 합니다. 다만, 그 정도로 연산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이 단원 공부를 잘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 몇 번 강조했지만, 고등 수학에서 소수 곱셈은 거의 나오지 않고요. 나오더라도 간단한 수준으로만 나옵니다. ​ 일단 5학년 2학기 수학 목차는 이렇습니다. ​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 그리고 '4. 소수의 곱셈'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 (소수) × (자연수) 0.2 × 6을 여러 가지.. 2022. 9. 14.
[초등과학 홈스쿨링 4-2] 2. 물의 상태 변화 - 증발, 끓음, 응결. 뭐가 다를까? 초등 4-2 과학교과서 2단원의 핵심 내용 중 '증발, 끓음, 응결' 각각은 뭐가 다를까요? 4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의 대단원은 이렇습니다. ​ 1. 재미있는 과학 2. 물의 상태 변화 3. 그림자와 거울 4. 화산과 지진 5. 물의 여행 ​ 이 중 '2. 물의 상태 변화' 단원은 매우 중요한데요. 특히 교과서에 나오는 핵심 어휘를 제대로 확실하게 공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그래서 '증발, 끓음, 응결' 각각에 대해 최대한 쉽게 정리했습니다. 1. 증발과 끓음 ​ 교과서에서는 증발에 대해 이렇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액체인 물은 표면에서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증발이라고 합니다.' ​ 그리고 다양한 증발 사례를 사진으로 보여줍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활용하면 .. 2022. 9. 8.
[공부법] 전교 1등 공부법! 메타인지 학습법! 별거 아님! ​ 그리고 방송 내용을 참고해서 아래 글을 써 봤습니다. ​ 아래 글을 읽을 때... “어차피 내 아이는 안돼... 내 아이와는 상관 없는 얘기야...” “우리 아이는 언제 이렇게 되나...” 라고 단정지어 생각하지 마시고요. 이 글과 방송 내용을 참고로 해서 한 과목만이라도, 한 단원만이라도 제대로 공부해 보는 경험을 해 보게 하세요. 그래야 변화도 생길 수 있으니까요~ 1등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예요. 하지만 어차피 보내야 할 초중고 시기... 어떤 과정을 거치며 보냈느냐는 정말 중요하잖아요. 내 아이의 초중고 과정을 위해서 이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 상위 0.1% 아이들과 일반 아이들의 차이점 ​ 0.1% 아이들과 보통 아이들의 기억력을 비교해 봤는데요. 암기력과 지식에 대한 비교 평.. 2022. 8. 29.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3. 합동과 대칭' 교과서 공부 제대로!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교과서는 6가지 대단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 이 중 '3. 합동과 대칭' 단원 교과서 공부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일단 이 단원에 나오는 수학 용어들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는데요. 어떤 개념들인지 보겠습니다. ​​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은 '합동'입니다. * 합동 : 합할 합(合) + 한 가지 동(同) ​ 모양도 같고, 크기도 같아서 완전히 겹치는 두 도형이 합동입니다.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도 나옵니다. '겹치는'이 핵심입니다. 자칫 헷갈릴 수 있습니다. 선대칭도형, 대칭축도 나오고요. 점대칭도형과 대칭의 중심도 나옵니다. 만약 이 단원에 나오는 '합.. 2022. 8. 19.
[공부법] 수학 문제 풀 때 실수를 줄이는 방법 수학 문제 풀 때 실수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평소에 실수 안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 입장으로, 입장 바꿔 생각해 보세요. 수학 문제 풀 때 실수하지 않기 위해 공부 시간 내내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있나요? 스스로 하고 싶어서 공부 하나요? 절실히 100점 맞고 싶어 하나요? 평소에 실수 안 하는 것은 원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러면 목표를 바꿔야 합니다. 평소에는 실수를 줄이는 것이 목표이고요. '시험 때라도 실수 안 하기'가 목표입니다! 이제 평소에는 실수 안 하기가 아니라 집중하는 시간을 늘리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연산 20문제를 푸는 데 항상 실수합니다. 그러면 연산 10문제 풀고 잠시 쉬게 합니다. 아이가 쉬는 동안 .. 2022. 8. 19.
[초등수학 홈스쿨링 4-2] '3. 소수의 덧셈과 뺄셈' 교과서 공부 제대로!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수학교과서는 6개 대단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 1. 분수의 덧셈과 뺄셈 2. 삼각형 3. 소수의 덧셈과 뺄셈 4. 사각형 5. 꺾은선그래프 6. 다각형 ​ 이 중 '3. 소수의 덧셈과 뺄셈' 단원 공부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공부하는 게 제대로 공부하는 걸까요? ​ 우선 교과서 공부부터 제대로 해야 하는데요. 소수의 덧셈과 뺄셈을 세로셈 요령 익히기 위주로만 하는 건.. 제대로 공부한 것이 아닙니다. ​ 왜 그런 요령으로 계산하는지부터 제대로 이해한 다음에 요령을 익혀야 하고요. 그 전에 소수 첫째 자리, 소수 둘째 자리, 소수 셋째 자리 각각의 개념부터 제대로 공부해야 합니다. 아래 교과서 내용은 '영 점 영일'의 개념인데요. 역시나 교과서나 문제집에 있는 개념 정리는 결.. 2022. 8. 18.
[코칭법] 유초등 시기 독서와 공부의 동기부여는 무엇?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앞으로 몇 십억 개의 직업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살아갈 미래는, 지금보다 더 힘들 거 같습니다. 사랑하는 내 아이가, 적어도 나보다는 더 편하게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려면... 굳이 서연고는 아니더라도.. 가면 좋지만요.. 듣도 보도 못한 대학 말고.. 좀 들어 본 대학 또는 in 서울 대학은 갔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려면 독서를 좀 해야 합니다. 공부도 좀 해야 합니다.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사랑하는 내 아이를 위해서요. 여기까지는 지극히 당연한 동기부여입니다. 독서를 해야 하는 동기부여이고요. 공부를 해야 하는 동기부여입니다. 다만... 우리 부모 입장에서의 동기부여입니다. 아이에게는요? 아이에게는 절대 동기부여가 될 수 없습니다. 4차.. 2022. 8. 18.
[공부법] 재수 없지만, 교과서가 기본인 건 사실이에요 ^^! 1년에 한 번 정도 수능 시험이 끝나면, 수능 만점자들을 통해서, 공신(공부의 신)들이 어떻게 공부했는지 듣게 되는데요. ​ 공통적으로 이야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수업 시간에 집중했어요."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어요." "책을 많이 봤어요." 음~ 재수가 좀 없습니다. 근데 작년(2021년)에 서울대에 입학한 제 아이도 위와 같이 공부했습니다. ^^!! 반대로 성적이 안타까운 아이들의 공통점이 있는데요. ​ 음~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다가 학원 가서 공부하려 하고요. 음~ 참고서나 문제집으로 공부하려 하고요. 음~ 책은, 가까지 하지 못했고요. ​ 공신들의 공부 방법 중에서, 수업 시간 집중과 책 많이 본 것은. 그 방법이 무엇이고 얼마나 중요한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런데.. 2022. 7. 1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