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행공신 교육523

[초등수학 공부법] 연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초등수학 공부법] 연산에 대한 오해와 진실!  1. 연산을 왜 해야 할까요? "딸! 너 초등 때 연산 연습하면서 나름 재미있었던 적 있었어?" "아니! 그럴리가~" '음.......' 연산(계산 연습)을 재미있게 하는 아이는 거의 없습니다. 물론 공부를 재미있게 하는 아이도 별로 없죠. 하지만 연산(계산 연습)은 그 이상으로 재미 없습니다. 근데 왜 연산(계산 연습)을 해야 할까요? 여기에는 큰 오해가 하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연산은 '숫자와 연산 기호로 되어 있는 식의 계산' 을 말합니다. 그런데 연산은 계산이 다가 아니거든요.   초등 수학은 다섯 가지 영역이 있습니다.- 수와 연산 - 도형 - 측정 - 규칙성 - 자료와 가능성 그리고!!! 다섯 가지 영역 각각 이렇게 학습해야 합니다.[개념 학.. 2024. 8. 30.
[자기주도 학습능력 기르기 1] 초등학교 성적, 교과서가 기본! [자기주도 학습능력 기르기 1] 초등학교 성적, 교과서가 기본!   예전에 아이 공부에서 핵심 키워드는 내신, 수능, 논술 이었습니다. 그 영향이 초등까지 내려와서 초등에 논술 바람이 불었었죠.내신 준비에 수능 준비에 논술 준비까지 해야 한다면서 부모들도 아이들도 바쁜 하루 하루를 보냈습니다. 요즘 초등 학습에서 내신과 논술은 계속 이어지고 있죠. 그리고 사고력수학에 내신수학에 국어 선행에 영어 선행에...따로따로 하려고 하니까 양만 많아지고, 시간만 많이 들면서 효율은 떨어집니다.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갖추면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인데요...   결국 공부는 자기가 하는 거니까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길러지면 자연스럽게 공부도 잘 하게 되는데... 근데 혹시 아직도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르는 공부가.. 2024. 8. 29.
[초등공부법] 공부 잘 하기 위한 3요소 : 지식, 기능, 태도 [초등공부법] 공부 잘 하기 위한 3요소 : 지식, 기능, 태도  현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현재 사회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회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지식, 기능, 태도 입니다. ​ ​지식 현 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라고 하죠. 핵심 지식(정보)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 기능(능력) 그런데 지식(정보)의 양이 너무 많아서 모든 것을 머리 속에 담아 둘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핵심 지식(정보)을 빠르게 찾아내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태도 게다가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고도로 정보산업화 되어 가면서 적극적, 긍적적, 합리적 태도 형성도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당연히 초등학교 교육과정(교과서)에서도 학교 수업을 통해 지식 습득, 기능 훈련, 태도 함양을 목표로 하.. 2024. 8. 29.
[초등독서논술] '이름'보다는 '이유'가 더 중요해요~ [초등독서논술] '이름'보다는 '이유'가 더 중요해요~  예전에 친구 가족과 함께 강원도로 여행을 갔었습니다. 굴에 들어갔는데요.초딩 아이에게 뭔가 알려주고 싶은 맘이 생긴 친구가동굴 안에서 아이에게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저기 위쪽에 고드름처럼 생긴 돌 모양을 뭐라고 하게?""?"   "그럼 저기 아래 바닥에서 뿔처럼 솓아나온 돌 모양은 뭐라 하게?""??"   "휴... 그럼 저기 위와 아래가 길죽하게 붙어 있는 기둥 모양은 뭐라고 하게?""???"     첫 번째 답은 종류석 입니다.두 번째 답은 석순 입니다.세 번째 답은 석주 입니다. 이처럼 무언가의 명칭, 이름, 단어를 핵심으로 생각하는 것은 옛날 방식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는 명칭이나 이름을 정확히 기억해야 하지만요즘은 '왜'가 더 중요해 졌.. 2024. 8. 28.
[독서논술] 아이가 문학책을 제대로 읽게 하려면? [독서논술] 아이가 문학책을 제대로 읽게 하려면?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모든 학습의 기본은 배우고 익히는 것입니다. 학습 = 배울 학(學) + 익힐 습(習) 마찬가지로 문학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도 학습해야 합니다. 먼저 문학책 제대로 읽는 방법을 배우고 그 다음 문학책 제대로 읽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어떤 방법으로 배우는 것이 좋을까? 첫 번째 방법은 설명을 듣는 것입니다. (강의식) 학교나 학원에서 선생님의 강의를 들어면서 배우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유아, 유치, 초등 저학년 아이들에게 읽기 전략을 쉽게 설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 방법은 고학년 아이들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스스로 배우는 것입니다. (자기주도 학습) 관련된 책을 읽거나 인터넷 등에서 자료를 찾아 읽으면서 스스.. 2024. 8. 27.
[공부법 ] 5~7세 과목별 공부 큰 그림 그리기 [공부법 ] 5~7세 과목별 공부 큰 그림 그리기   5~7세는 넓은 의미의 '학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넓은 의미의 학습이란 독서, 체험(경험), 워크북, 독후활동 등을 모두 포함한 것인데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각 영역별로 큰 그림을 그려 보면 이렇습니다. ​ 국어는 크게 문학과 비문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문학은 시, 소설 등입니다. 전래, 명작, 동화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비문학은 설명문, 논설문 등입니다. 사회, 과학, 수학, 역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국어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되고요. 1학년 2학기 부터는 문학과 비문학을 고르게 배웁니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파트별로요. 그래서 5~7세 때에는 문학과 비문학 책을 고르게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듣기! .. 2024. 8. 27.
[수학공부법] 수학교과서 익힘책 문제로 학교시험 난이도 가늠해보기 [수학공부법] 수학교과서 익힘책 문제로 학교시험 난이도 가늠해보기  초등학교 수학 실력은 교과서나 학교 시험으로 판단하지 말아야 합니다.초등학교 1~2학년 교과서(익힘책) 문제를 보겠습니다.이를 통해 학교 수학의 난이도를 가늠해 보세요.    1학년 도형 문제입니다.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초등 2학년까지 도형 단원은 어렵지 않습니다.도형에서 전문(?)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3학년부터입니다.그러니 초등 2학년까지는 도형에 너무 신경 많이 쓰지 마세요.그보다는 연산 영역을 제대로 학습하는 게 더 중요합니다. ^^    이 문제도 어렵지 않습니다. 이 문제를 3학년 아이가 틀렸다면...문제가 어려워서가 아니라 아이의 문제 해결력 또는 태도에 문제가 있는 거죠...만약 1학년 아이가 이 문제를 .. 2024. 8. 26.
[초등기초 영문법] 주격, 소유격, 목적격 대명사 총 복습 [초등기초 영문법] 주격, 소유격, 목적격 대명사 총 복습  영어문법은 초등 고학년 때부터는 시작해야 합니다.대신 초등 영문법은 최대한 쉽게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주격 대명사, 소유격 대명사, 목적격 대명사에 대해 배웠는데요.이 3가지 대명사를 한 번에 보면서 총 복습해 보겠습니다.먼저 각각이 무엇인지부터 다시 한번 복습하면요~   '대명사'란 무엇일까요? '대명사'에서 '대'는 '대신하다'이고요. '명'은 '이름'이고요. '사'는 '말'입니다.* 대명사(代名詞) ⇒ 대신할 대(代) + 이름 명(名) + 말 사(詞)​즉 '명사'란 소년, 소녀, 자전거, 사탕, 축구공처럼 '이름에 해당하는 말' 이고요. '대명사'란 '명사를 대신하는 말'입니다.* 대명사 : 사람이나 동물, 사물의 이름을 대신.. 2024. 8. 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