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행공신 교육523 [학습코칭] 공부는 때가 되면 한다? 아니다! [학습코칭] 공부는 때가 되면 한다? 아니다! 우리 부모 때에는, 초등학교 때 다 함께 놀았습니다.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학원을 여러 곳 다니는 아이는 매우 드물었습니다.다 함께 놀았기 때문에 초등학교 때 공부 잘 하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의 실질적인 학습 능력 차이는 크지 않았습니다. 중학교 때에도 함께 놀았습니다.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기간에 얼마나 공부하느냐로 성적 차이가 났을 뿐 그 외에는 함께 놀았습니다. 그리고 중학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대비는 대부분 벼락치기 암기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학습 능력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몇 달만 지나면 흰색 페인트칠을 한 것처럼 대부분 기억에서 깨끗하게 사라졌거든요. 본격적으로 실력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3학년 이후였습니다.중학교 3학.. 2024. 9. 4. [초등영어 공부법] 영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무엇이 중요한고? [초등영어 공부법] 영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무엇이 중요한고? 국어는 언어입니다. 그래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잘 해야 합니다. 영어도 언어입니다. 그래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잘 해야 합니다. 원래는 그런데요. 시험을 기준으로 하면 어떨까요? 시험이 인생의 전부는 절대 아닙니다. 다만, 요즘 입시 제도가 워낙 복잡해서... 그리고 당분간은 계속 복잡할 거라... 시험을 전부로 생각해서가 아니라! 현명하게 잘 판단하기 위해서 시험(입시) 제도를 잘 파악하는 것은 분명 중요합니다!! 영어의 경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 시험을 보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1. 영어 듣기- 학교 시험(중기말 고사) : 듣기는 없어요. - 수행 평가 : 중학교 때 1년에 2회 듣기 .. 2024. 9. 3. [초등독서논술] 독서의 부작용! 그리고 책 잘 보게 만들기! [초등독서논술] 독서의 부작용! 그리고 책 잘 보게 만들기! 과유불급(過 : 지나칠 과 猶 : 오히려유 不 : 아닐 불 及 : 미칠 급)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 지나침은 부족함과 마찬가지이다. 《논어》에 나오는 내용이라고 하는데요. 공자께서 하신 말씀~ 지나치게 많이 하면 좋지 않다는 거죠. 지나치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적절한 상태를 가리켜 중용(中庸)이라고 하는데 공자께서는 중용을 매우 소중한 가치로 여겼다고 합니다. 모든 것이, 지나치게 많이 하면 좋지 않죠. 로또 당첨된 분들 대부분이 불행해지는 것도 그렇고... 몸에 좋다는 음식 많이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것도 그렇고... 독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책만 많이 읽은 아이들의 부작용 사례도 있었고요... 그럼 어쩌라고?.. 2024. 9. 3. [초등 공부법] 초등 시기에 의미 있는 공부란 이런 것! [초등 공부법] 초등 시기에 의미 있는 공부란 이런 것! 대부분의 부모들은 내 아이가 공부 잘 하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이런 저런 것에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들이는데요. 시간, 노력, 비용을 의미 있는 공부에 쓰면 과정도 좋고 결과도 대체로 좋을 거예요. 반대로 의미 없는 공부에 쓰면 과정도, 결과도 좋지 않을 거고요. 가장 중요한 태도에도 나쁜 영향을 줄 거예요. 그래서 의미 있는 공부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많이 기억하기' 가 아니라 '제대로 경험하기' 학교 시험을 잘 보려면 교과서나 선생님이 설명한 내용을 기억해야 해요. 많이 기억해야 시험을 잘 볼 수 있죠. 근데...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노력을 기울이는 건 빨라야 초등학교 3~4학년 때부터 가능한 거예요. .. 2024. 9. 2. [학습코칭] 자기주도 학습능력 어떻게 길러야 하나? [학습코칭] 자기주도 학습능력 어떻게 길러야 하나? 1. 전국 상위권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좋은 아이들 내 아이가 스스로 공부하면 제일 좋죠~ 스스로 공부하는 것을 '자기주도 학습' 이라고 하고요.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중요하다!" 는 아주 익숙한 말입니다. 대학 입시 때에도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중요하게 평가하는데요. 수시에서는 3단계를 통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평가합니다.[1단계] 서류 심사 : 학생부(학교생활기록부)[2단계]와 3단계] 심층 면접 + 수능 최저(면접과 수능 최저는 대학, 학과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해요~) 공부는, 본질적으로 '자기가 하는 것'이죠. 전국 최상위권 아이들도 결국 '스스로 공부 많이 하는 아이'인 셈이고요.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본질적으로도 중요하고, 대학 .. 2024. 9. 2. [초등사회 공부법] 우리나라 절기 음식 이해하기 [초등사회 공부법] 우리나라 절기 음식 이해하기 1. 절기 음식 학습 방법 절기 음식에 대해 학습할 때에도 무슨 절기에 어떤 음식을 먹는지 외우려고만 하면 안됩니다. 그럼 금방 잊어먹고요. 사회를 이해하지도 못합니다. 계속 강조하듯이 왜 그 절기에 그 음식을 먹는지를 이해한 다음에 외워야 합니다.그렇게 학습해야 '사회'를 이해하게 되고요. 배경 지식으로 많이, 오래 남길 수 있습니다. 당연히 시험도 더 잘 볼 수 있고요. 특히 서술형 주관식 문제 해결 능력이 생깁니다. 교과서 내용 중에서 이런 내용이 있는데요.(옛날에는) 명절이나 절기가 되면 그에 따른 음식을 먹었습니다. 이번에는 왜 동지에 팥죽을 먹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2. 왜 동지날 팥죽을 먹을까? 동지는 1년 중에서 낮이 가장 짧고 밤.. 2024. 9. 2. [초등사회 공부법] 우리나라 계절 음식 이해하기 [초등사회 공부법] 우리나라 계절 음식 이해하기 1. 계절마다 먹는 음식이 달랐어요. 옛날에는 계절마다 먹는 음식이 달랐습니다. 봄에는 화전을, 여름에는 삼계탕을, 가을에는 햇곡식과 햇과일을, 겨울에는 김치를 먹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모든 생물은 환경의 영향을 받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고요. 특히 옛날에는 환경이 의식주에 끼치는 영향이 컸습니다. 과학, 기술, 교통, 통신이 발달하지 않는 옛날에는 주변 환경을 이용해 의식주를 해결했습니다.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음식을 해 먹었었죠. 그런데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구할 수 있는 재료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라 먹는 음식이 달랐습니다. 2. 옛날 봄 음식 봄에 쉽게 구할 수 있는 음식 재료는?.. 2024. 8. 31. [자기주도 학습 능력 기르기 2] TV부터 없애기 [자기주도 학습 능력 기르기 2] TV부터 없애기 TV를 없애는 것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지는 않지만 많은 것들을 해결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상황과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 아이에게 시간이 더 생겨요~ (TV를 볼 수 없으니까 그 시간에 다른 것을 할 수 있죠~) - 아빠가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더 생겨요~ (아이 잠들기 전까지는 아이가 최우선~) - 가족 간에 대화가 늘어요~ (처음 1~2개월 동안의 어색함을 잘 참으세요~) - 부모도 책을 더 많이 보게 돼요~ (할 게 없어서~) - 가족끼리 밖으로 나가는 시간이 늘어요~ (주변 공원이라도~) - 가장 중요 : 책 읽는 환경이 만들어져요~ (자기주도 학습 능력 훈련의 핵심!!!) - 아이가 친구들과 대화를 잘 할 수 있을까.. 2024. 8. 3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66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