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행공신 교육523 교육부 지정 초등필수 800 영단어 - e와 f와 g 교육부 지정 초등필수 800 영단어 - e와 f와 g 영어는 본질적으로 언어입니다.그리고 언어를 잘 한다는 것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잘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어를 잘 한다는 것도 잘 듣고, 말 잘하고, 잘 읽고, 잘 쓰는 것입니다.이는 초등영어 때에도 마찬가지인데요.우리나라에서 영어는 모국어가 아니라 외국어이고요.우리나라 교육과정과 시험 문제 유형, 입시제도 등이 문법을 강조하는 편입니다.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은 읽기, 문법, 쓰기를 잘 하는 것입니다. 이때 초등영어 시기에는 읽기에 집중해야 합니다.문법과 쓰기는 뒷 시기에 집중해야 하고요.일단 읽기부터 잘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영어도 언어이기 때문에 단어(어휘)가 중요하고요.우리나라에서 영어 단어(어휘)는 .. 2024. 12. 7.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3인칭 현재형 만들기 (초등 영문법)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3인칭 현재형 만들기 (초등 영문법) 이전 포스팅에서 '일반동사' 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간단히 복습하고요. * 일반동사 : 주어의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평서문에서는 주어 다음에 쓴다.I drink coffee. ⇒ 나는 커피를 마신다. 위 문장은 현재형입니다. '커피를 마셨다' 라면 과거형이고요. '커피를 마실 예정이다' 라면 미래형인데요. '현재 마시고 있다' 이기 때문에 현재형입니다. 이처럼 현재형에서 '마시다' 라는 영어 일반동사는 'drink' 입니다.그런데 현재형이지만 'drink' 가 아니라 'drinks' 라고 써야 하는 때가 있습니다. 바로 주어가 'he, she, it' 일 때입니다. 즉 주어가 1인칭인 I(나), We(우.. 2024. 12. 5. [초등수학 공부법] 분모가 같은 분수 덧셈은 왜 분자끼리만 더하면 되나? [초등수학 공부법] 분모가 같은 분수 덧셈은 왜 분자끼리만 더하면 되나? 초등 수학에서 분수 덧셈을 배우는데요.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에서는 분자끼지만 더하면 됩니다. 요령은 간단합니다.그래서 거의 모든 아이들이 계산은 잘 합니다. 그런데 그 이유를 설명하라고 하면..대부분의 아이들이 설명하지 못합니다. 예전에는 시험에서 답만 구하면 되었기에 상관 없었는데요.요즘은 설명도 해야 하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설명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그 이유를 정리했습니다.앞으로는 공부를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 12. 4. [유아수학 공부법] 4세~7세 때 수학 공부, 무엇을 해야 하나? [유아수학 공부법] 4세~7세 때 수학 공부, 무엇을 해야 하나? 귀여운 아기 시기를 지나고 지나 4세 전후가 되면 '공부스러운 무언가를 해야 하나?' 생각이 들기 시작합니다. 먼저 떠오르는 것은 한글이고요. 그 다음으로 영어와 수학입니다. 한글은 책 많이 읽어주기로 시작하면 될 듯 하고요. 영어는 영유를 보내거나 알파벳, 노래, 영상 접하기로 시작하면 무리는 없을 듯 합니다. 그런데 수학이 참 애매합니다. 교구수학, 놀이수학, 사고력수학, 수학동화 어떤 것이 더 좋을까요? 위 4가지는 모두 방법입니다. '어떻게' 이고요. '무엇을' 은 아닙니다. '무엇을'이 무엇인지 빨리 말씀 드릴께요. ^^ 4~7세 수학 학습에서 '무엇을'은 '초등학교 1학년 수와 연산' 영역 내용입니다. "아니! 4세가 초.. 2024. 12. 3.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말 (기초 영문법)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말 (기초 영문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등 기초 영어문법 내용 중에서 '일반동사' 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사(動詞) : 움직일 동(動) + 말 사(詞) 위 한자의 뜻만 보면, 동사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인데요. 정확하게는 '주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말' 입니다.* 동사 : 주어의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예를 들어보겠습니다.I go to school. ⇒ 나는 학교에 간다. 위 문장에서 동사는 go 입니다. 그리고 go(가다)는 주어인 I(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런데 그냥 '동사' 라고 하지 않고 '일반동사' 라고 합니다.왜냐하면 다른 동사들과 구분하기 위해서인데요. 일반동사라고 해야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be동사'와 구분이 됩.. 2024. 11. 30. [독서논술] 책만 많이 읽어줘도 한글을 뗄 수 있나? [독서논술] 책만 많이 읽어줘도 한글을 뗄 수 있나? "우리 아이는 한글 공부 따로 하지 않았어요. 책만 열심히 읽어 주었더니 저절로 떼던데요. 7세 전후에 다 그렇게 되는 거 아닌가요?" 라고 말 하고 싶더라도... 그러지 마세요... ^^! 그 아이는 특별히 언어 지능이 좋은 아이니까요. 일반적으로는 그럴 수 없습니다. 그럼 일반적으로는 어떤 기준으로 생각해야 할까요? 2024. 11. 25. [유아~초등 독서논술] 좋은 배경지식이란 어떤 것일까? [유아~초등 독서논술] 좋은 배경지식이란 어떤 것일까?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 시대에는 특히 융합형 인재로 성장해야 좋고요. 그러한 인재로 성장시키기 위해 교육과정에 큰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문이과를 통합하면서 교과서를 바꾸었고요. 학교 시험도 서술형 주관식 문제 비중을 높였고요. 학교 내신도 수행평가 비중을 높이고 있고요. 대입은 2028년 대입개편안으로 인해 더 복잡해졌습니다.거의 교육혁명에 가까운 큰 변화가 오고 있는데요. 이런 변화에 잘 대처하려면! 정답을 빨리 떠올리는 것이 핵심이 아니라...영역을 넘나드는 창의적 사고력! 종합적 사고가 요구되는 문제 해결력! 문제 해결 과정을 잘 정리하는 논리적 사고력! 정리한 내용을 적절한 어휘로 표현하는 표현력! 등이 핵심.. 2024. 11. 24. [독서논술] 초등 때 독서논술, 무엇부터 해야 하나? [독서논술] 초등 때 독서논술, 무엇부터 해야 하나? 거의 대부분의 집에서 아이 독서를 진행합니다.빠르면 유아, 늦어도 초등 저학년 때부터는 독서에 신경을 쓰는데요. 초등독서논술은 어떨까요? 초등 때 독서논술이라고 하면 어떤 의미일까요?독서와 논술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하는 게 좋을까요? '초등독서논술' 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진 이유는 몇 가지인데요. 첫째, 논술이 중요해졌다는 뜻이고요.둘째, 논술이 어렵기 때문에 독서부터 잘 해야 한다는 뜻이고요.셋째, 초등 때 독서부터 잘 해야 하고, 혹시 잘 하면 논술도 시작하라는 뜻입니다. 위 3가지 이유 때문에 '초등독서논술' 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위 내용은 앞으로도 똑같이 적용될까요?이에 대해 정확히 판단하려면, 앞으로 적용될 20.. 2024. 11. 23. 이전 1 2 3 4 5 ··· 66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