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교실 강.의 때 자주 받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초등 시기에 글쓰기 잘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입니다.
그리고 제 답변은 이렇습니다.
"글쓰기 자주 시키지 않았습니다. 글감을 만들어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초등 중학년까지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쓰기입니다. 그 이후에도 쓰기가 어렵기는 한데요. 초등 중학년까지 어떻게 진행했느냐에 따라 쓰기의 난이도가 내려갈 수는 있습니다. 어쨌든 초등 중학년까지는 쓰기가 절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집니다.
뭘 써야 할지도 잘 모르겠고, 쓰는 것 자체도 팔 아픈데 자꾸 쓰라고 하면 힘들기만 합니다.
게다가 부모 눈에는 글 내용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맞춤법, 띄어쓰기, 삐뚤빼뚤 글자, 연필 잡은 손 모양 등이 다 보이면서 정작 가장 중요한 글 내용을 떠나 온갖 잔소리가 터져 나오려 합니다.
쓰기도 힘든데 온갖 잔소리까지 들어야 하면 더 쓰기 싫어지겠죠.
자신의 생각을, 적절한 용어를 사용해서 적절한 문장으로 쓸 수 있는 시기는 빨라야 초등 3학년 이상으로 생각됩니다. 초등 3학년까지 독서가 탄탄하게 잘 진행되었다는 전제 하에서입니다.
그래서 아이 쓰기는 초등 2학년까지 학교 숙제만 했습니다.
● 독서록 : 대부분 아이가 쓰고 싶은 데로 두었습니다. (선생님이 지적하지 않는 이상~) 다만, 특별히 재미있게 본 책이 생기면 그 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쓰게 했습니다. '어떤 내용이 재미있었다' 정도로요. 그리고 생각의 확장을 요구하지는 않았습니다. 그건 자유롭게~
● 일기 : 대부분 아이가 쓰고 싶은 데로 두었습니다. (선생님이 지적하지 않는 이상~) 다만, 특별히 재미있는 경험을 한 날은 구체적으로 쓰게 했습니다. '누구랑 어디에 가서 무엇을 했는데 어떤 것이 재미있었다' 정도로요.
글쓰기가 잘 되는 날은 글 쓸 내용이 많이 생각날 때인듯 합니다~
즉, 초등 중학년까지도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들인 것은 '쓰기 연습' 이 아닙니다. 쓰기의 기초 능력과 글감 마련에 시간과 노력을 들였습니다.
쓰기의 기초 능력이란 독해력과 어휘력입니다. 이를 위해 아이에게 맞는 좋은 책을 고르는 데 가장 많은 에너지를 쏟아 부었고요. 자연스럽게 책을 통해 글감이 마련되었습니다.
그리고 주말마다 어딘가에 가려 했습니다. 집 근처 공원도 좋았고, 박물관 체험도 좋았고, 염전이나 농장 체험도 글감 마련에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요즘은 코로나 때문에 쉽지 않지만요..
어쨌든 5세부터 초등 중학년까지 위와 같이 하면 자연스럽게 잘 쓸 준비가 됩니다. 아마도 가장 효율적인 방법일 것입니다.
교육부에서 2022 개정교육과정 예고안을 통해 초중고와 대입 전 시기 서술형 논술형 강화를 예고했습니다. 이제 잘 쓰지 못하면 좋은 성적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쓰기는 단기간에 능력이 길러지지 않습니다. 초등 때부터 차근차근 훈련을 해야 잘 쓰게 됩니다. 단, 초등 저학년까지는 쓰기를 내려놔야 합니다.
아이가 잘 쓰기를 바라시나요? 논술도 잘 할 수 있기를 바라시나요? 그렇다면 절대 서두르지 마세요. 쓰기의 전 단계에 집중하세요. 그래야 잘 쓰게 됩니다.
아~ 이제부터 논술은 일반 대입 논술이 아닙니다. 과목별 내신 논술을 대비해야 하고요. 구체적인 대비 방법은 아래 강좌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꼭 참고해 보세요~ ^ㅡ^
코로나 이후 사회와 2022 개정교육과정 대비 <현명한 자기주도 초등 공부법>
https://blog.naver.com/jnanna89/222585583600
[강의 안내] 현명한 자기주도 초등공부법 1개월 자유수강권 안내
올해(2021년) 기준으로 초등학생들은 2022 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특히 핵심은 초중...
blog.naver.com
<행공신 출간 도서 목록>
'행공신 교육 > 독서 문해력 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논술지도] 쉬운 비문학 책이란 어떤 책일까? (0) | 2022.03.02 |
---|---|
[독서논술지도] 아이 독서에서 비문학 독서가 중요한 이유 (0) | 2022.02.23 |
[독서논술지도] 재미있는 문학책이란 어떤 책일까? (0) | 2022.02.16 |
[독서논술지도] 독서에서 배경지식 습득이 가장 중요할까? (0) | 2022.02.10 |
[독서논술지도] 이상한 교과서 연계 독서 사례 (2) | 2022.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