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한국사능력검정시험74 [초등한국사 공부법] 76. 고려 - 연등회란 뭘까? (한능검 대비) 고려 때 '연등회' 라는 행사가 있었습니다. 뭐 하는 행사일까요? * 연등회 : (불이)탈 연(燃) + 등잔 등(燈) + 모일 회(會) ⇒ 불이 붙은 등잔을 들고 모이는 행사 그러면 이런 거네요. 맞기는 한데요. 왜 모였을까요? 뭐 할려고? 부처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기를 함께 기원하려고 모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양한 종교를 믿습니다. 불교, 기독교, 천주교, 이상한 교 등등 그런데 고려 때에는 거의 대부분 불교를 믿었습니다. 그래서 고려 사람 모두가 모여 부처의 가르침이 널리 퍼지기를 기원한 것입니다. 그리고 맛있는 음식도 먹고, 음악도 연주하고, 춤도 추고, 연극도 보면서, 임금과 신하와 백성들이 다 함께 즐기는 국가 차원의 축제였습니다. 대충 알겠네요. 근데 왜 연등을 밝혔을까.. 2022. 10.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4. 초등한국사 고려 직지심체요절- 암기 말고 이해하기 고려의 금속 활자와 직지심체요절은 시험에 잘 나옵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에도 나올 수 있으니 제대로 공부해 두는 게 좋겠죠! 1. 왜 시험에 잘 나오나? 전 세계에 자랑할만한 자랑꺼리이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 대단하지! 너희들보다 인쇄술이 앞섰거덩!" 이때 자랑꺼리란!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속 활자로 책을 인쇄한 것입니다! 2. 그게 왜 대단한 일일까? 금속 활자가 나오기 전까지는 목판으로 책을 인쇄했습니다. 근데 목판은, 책을 만들 때마다 새로 목판을 새겨야 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한 '팔만대장경' 도 대단한 문화재입니다. 목판을 80000장이나 새겼죠. 근데 다른 책을 만들려면 또 다시 목판을 새겨야 합니다. 하지만! 금속 활자를 이용하면 책을 만들 때마다 해.. 2022. 9. 2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2. 고려의 고려청자는 왜 유명할까? (암기 말고 이해하기) 옛날에는 흙을 구어 그릇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종류가 아니었습니다. 재료인 흙의 종류와 구울 때의 온도에 따라 종류가 달랐는데요. 흙의 종류 각각의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없고요. 온도 숫자 각각을 기억할 필요도 없습니다. '흙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그릇의 종류가 달라진다.' 를 기억하면 됩니다. * 토기 : 점토를 반죽하여 500도씨 이상의 고온에서 만든 그릇 (예 : 빗살무늬토기) * 도기 : 찰흙을 반죽하여 500~1100도 사이의 고온에서 만든 그릇 * 자기 : 고령토를 반죽하여 1300도 고온에서 만든 그릇 (도기 + 자기 = 도자기) * 청자 : 자기에 청색 유약을 바른 그릇 * 백자 : 자기에 백색 유약을 바른 그릇 아래 사진은 백색 유약을 바르는 사진이에요. 그리고 고려 시.. 2022. 9. 1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1. 고려 말 핵심 키워드 3 - 권문세족 고려 말 시기 첫 번째 핵심 키워드는 '신진사대부' 이고요. 두 번째 핵심 키워드는 '유교 성리학' 이고요. 세 번째 핵심 키워드는 '권문세족' 입니다. 신진사대부와 유교 성리학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 권문세족!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어렵게 느껴질 뿐입니다. 권문세족을 간단히 설명하면~ '나쁜 XX들' 입니다. 왜냐하면, 지배층인데 자기 욕심만 채웠거든요. 권문세족은 몽골의 침략 이후 새로 형성된 지배세력인데요. 누가 권문세족이었을까요? 크게 4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고려을 침략하고 지배하려 한 원나라에 빌붙은 지배층입니다. 그냥 딱 감이 오죠? 그런 인간들이니 자기 욕심만 채웠겠죠. 두 번째 그룹은 권력을 잡은 무신들입니다. 문신은 글공부.. 2022. 8.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0. 고려 말 핵심 키워드 2 - 유교성리학 고려 말의 첫 번째 핵심 키워는 '신진사대부' 였고요. 두 번째 핵심 키워드는 '유교 성리학' 입니다. 유교 성리학이 우리나라 역사에 끼친 영향은 엄청납니다. 역사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의 삶에 끼친 영향도 엄청나고요. 그래서 '유교 성리학' 을 잘 이해하면! 한국사 공부뿐만 아니라 현재 대한민국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근데... 어렵습니다. 그래서 차근차근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교 성리학' 이 무엇인지, 최대한 단순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순한 정리이기 때문에 '전부'가 아니라 '일부'임을 감안해 주시고요. 우선 감만 좀 잡아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유교란 무엇일까요? 옛날 중국 공자, 맹자, 노자 등의 가르침에서 시작된 사상입니다. 어떻게 .. 2022. 8. 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9. 고려 말 핵심 키워드 1 - 신진사대부 고려말 시기와 관련해서 이해하면 좋은 핵심 키워드 중 첫 번째 키워드는 바로!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 입니다. 뭔가 어렵게 느껴지는 한국사 용어인데요. 이렇게 정리하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한국사 공부~ 어렵게 느껴지게 하지 마세요~ ^ㅡ^ 일단 각 글자의 음과 뜻을 살펴보면요. 신(新) : 새로울 신 진(進) : 나아갈 진 사(士) : 선비 사 대(大) : 큰, 훌륭한 부(夫) : 지아비, 사내 신진사대부 : 새로운(신) 길로 나아가는(진) 선비로써(사) 큰 뜻을(대) 품은 사내들(부) 신진사대부가 등장한 때는 고려 말입니다. 고려 말은 백성들이 살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왕은 나라를 제대로 다스를 힘이 없었고요. 지배층(권문세족)은 자기들 재산 늘리는 것에만 관심이 있었고요... 2022. 8. 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8. 고려 원 간섭기와 공민왕의 노력 1. 원의 간섭을 받게 된 고려 고려는 원(몽골)에게 완전히 항복하였고... 원은 고려를 자기 마음대로 다스리기 시작했어요. 원이 고려에 한 짓은 여러 가지인데요. 그 중 대표적으로 3가지만 살펴보면요~ T.T 첫째, 고려 땅에 원의 관청을 세웠어요. 원이 고려 땅에 세운 관청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없어요. 그냥 한번 읽어 보세요. - 쌍성총관부, 동녕부, 탐라총관부 등 고려 땅에 자신들의 관청을 세웠다는 것은... 나라땅을 빼앗긴 거랍니다... 둘째, 고려의 왕을 누가 할 것인지를 원나라에서 결정했어요. 아래 고려 왕의 이름을 보세요. (왕 이름 하나 하나를 기억할 필요는 없어요~) 24번째 왕 : 원종 25번째 왕 : 충렬왕 26번째 왕 : 충선왕 27번째 왕 : 충숙왕 28번째 왕 : 충혜왕 29번.. 2022. 8.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7. 몽골의 침략과 삼별초의 항전 1. 삼별초란? 몽골 민족이 세운 원나라가 고려를 침략했을 때, 고려는 무신들이 권력을 잡고 있었어요. * 무신 ⇒ 병사 무(武) + 신하 신(臣) 왕의 힘은 약했고요... 권력을 잡은 무신들끼리 다투기도 했어요... T.T 여러 무신 중에 최씨 성을 가진 무신이 권력을 잡았어요. 최씨 무신 정권이 들어선 거죠. 이들(최씨 무신들)은 권력을 지키기 위해 따로 병사를 거느렸어요. 원래 '병사'라고 하면 나라를 지키는 일을 해야 하잖아요. 근데 최씨 무신 정권은 나라가 아니라 자기네 집안을 지키기 위해 병사를 거느린 거예요. 이처럼 나라가 아닌 개인이나 특정 집안 등을 위해 거느리는 병사를 '사병'이라 불러요. * 사병 ⇒ 집안 사(私) + 병사 병(兵) 그리고 최씨 무신 정권이 거느린 사병 부대를 '삼별초.. 2022. 8. 2. 이전 1 2 3 4 ··· 10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