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063

[초등수학 4-2] '3. 소수의 덧셈과 뺄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4-2] '3. 소수의 덧셈과 뺄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3단원은 '3. 소수의 덧셈과 뺄셈' 인데요. 내 아이는 이 단원 공부를 제대로 충분히 잘 했을까요? 1. 분수의 덧셈과 뺄셈2. 삼각형3. 소수의 덧셈과 뺄셈4. 사각형5. 꺾은선그래프6. 다각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단원 공부에서 꼭 풀 수 있어야 하는 문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수학 공부 잘 하는 방법은 전혀 복잡하지 않다고 했습니다. 이 수학 저 수학, 여러 가지 종류의 수학을 할 필요도 없습니다. 우선 교과서 공부부터 제대로 해야 합니다.교과서에 나오는 개념과 원리를 진짜 제대로 이해하고 기억해야 하고요.문제를 풀 때 개념과 원리를 제대로 적용하면서 풀어야 하고요.상위권.. 2024. 12. 13.
[초등수학 3-2] '3. 원' 단원의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3-2] '3. 원' 단원의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3단원은 '3. 원' 인데요.교과서 핵심 내용은 분량이 적지만, 낼 수 있는 문제의 유형과 난이도는 매우 다양합니다. 그리고 중요한 단원입니다. 그래서 이 단원은 특히 더 공부를 제대로 해야 하고요.공부를 제대로 한다는 것은 이렇게 하는 것입니다. 1. 교과서 개념 공부 제대로 하기 ⇒ 설명할 수 있어야 함2. 개념 적용해서 문제해결력 기초 다지기3. 최소한 준심화(심화 전 단계) 난이도의 문제까지 풀어보면서 문제해결력 끌어올리기 그리고 이 단원의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이게 다 입니다~)       위 교과서 핵심 내용을 완벽하게 공부한 다음에는,난이도 하 문제들을 풀면서 내신 문제해결력의 기초를 훈련해야 하.. 2024. 12. 12.
[초등수학 2-2] '3. 길이재기' 단원 필수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2-2] '3. 길이재기' 단원 필수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공식을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모두 수학 공부에서 중요한 것들이지만.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수학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없고요.공식을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다면, 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수학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2024. 12. 11.
[초등수학 1-2] '3. 여러 가지 모양' 단원 필수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1-2] '3. 여러 가지 모양' 단원 필수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교 1학년은 변수가 많은 시기입니다.특히 수학 공부 능력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 읽기 능력(독해력, 문해력)인 시기이기 때문에..이 문제들을 풀지 못한다고 해서 수학 실력이 부족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대신, 아이 스스로 문제의 질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면, 말로 설명해 주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이해시켜 준 다음 문제를 풀어보게 하고요. 그 과정을 통해 아이의 현재 수학 실력을 평가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아래 문제들은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수학에서,'3. 여러 가지 모양' 단원의 대표 유형 문제들입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문제는 쉬운 문제입니다.무난하게 풀 수 있어야 하고요. 세 번째 문제도 .. 2024. 12. 10.
[초등 홈스쿨링 공부법] 교과서 연계 독서의 주의사항 [초등 홈스쿨링 공부법] 교과서 연계 독서의 주의사항   초등 시기에 가장 효율적인 공부 방법은 이렇습니다. 독서 => 학교 수업 집중 => 교과서 읽기 => 참고서 읽고 문제 풀기 이 때 독서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유리합니다.그런데....... 아이가 독서를 거부합니다.이 경우 마지막(?) 방법은 교과서 연계 독서 만 하는 것입니다. 교과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책만 읽는 거죠. 예를 들면요~ 광개토 대왕의 뒤를 이은 장수왕은 수도를 평양성으로 옮기고 한강 남쪽을 차지하여 신라와 백제를 위협하였다.   위 교과서 내용은 딱 한 줄이지만 그닥 재밌지도 않고요.기억하려고 하면 아마 외우고 잊어버리고를 반복할 것입니다. 그보다는 위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책을 읽게 하는 거죠. .. 2024. 12. 9.
유아~초등 영어책 단계 사례 유아~초등 영어책 단계 사례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을 잘 하는 걸까요?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를 잘 해야 합니다.하지만 우리나라 초중고 시험에서는 좀 달라집니다. 우리나라 초중고 시험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듣기는 좀 잘 하면 되고요.읽기는 아주 많이 잘 해야 하고요.문법도 잘 해야 하고요.쓰기도 잘 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읽기(리딩)가 가장 중요합니다.그리고 읽기(리딩)를 잘 하려면 어떻게든 많이 읽어야 하는데요.영어도 아이들 입장에서는 리딩 교재보다는 책이 더 만만합니다. 그리고 읽기(리딩)용 영어책도 단계가 있는데요.각 단계별 대표적인 영어책(원서) 사례입니다. ^^  아이캔리드 비스킷    아서   베렌스타인 베어즈   이상한 나의 학교  .. 2024. 12. 8.
교육부 지정 초등필수 800 영단어 - e와 f와 g 교육부 지정 초등필수 800 영단어 - e와 f와 g  영어는 본질적으로 언어입니다.그리고 언어를 잘 한다는 것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잘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어를 잘 한다는 것도 잘 듣고, 말 잘하고, 잘 읽고, 잘 쓰는 것입니다.이는 초등영어 때에도 마찬가지인데요.​우리나라에서 영어는 모국어가 아니라 외국어이고요.우리나라 교육과정과 시험 문제 유형, 입시제도 등이 문법을 강조하는 편입니다.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은 읽기, 문법, 쓰기를 잘 하는 것입니다. 이때 초등영어 시기에는 읽기에 집중해야 합니다.문법과 쓰기는 뒷 시기에 집중해야 하고요.일단 읽기부터 잘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영어도 언어이기 때문에 단어(어휘)가 중요하고요.우리나라에서 영어 단어(어휘)는 .. 2024. 12. 7.
[초등수학 6-2] '2. 소수의 나눗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6-2] '2. 소수의 나눗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둘 다 중요한 항목이지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개념과 원리만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 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유형과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  이는 초등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마찬가지이고요.학교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그.. 2024. 12. 6.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3인칭 현재형 만들기 (초등 영문법)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3인칭 현재형 만들기 (초등 영문법)   이전 포스팅에서 '일반동사' 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간단히 복습하고요. * 일반동사 : 주어의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평서문에서는 주어 다음에 쓴다.I drink coffee. ⇒ 나는 커피를 마신다. 위 문장은 현재형입니다. '커피를 마셨다' 라면 과거형이고요. '커피를 마실 예정이다' 라면 미래형인데요. '현재 마시고 있다' 이기 때문에 현재형입니다.     이처럼 현재형에서 '마시다' 라는 영어 일반동사는 'drink' 입니다.그런데 현재형이지만 'drink' 가 아니라 'drinks' 라고 써야 하는 때가 있습니다. 바로 주어가 'he, she, it' 일 때입니다. 즉 주어가 1인칭인 I(나), We(우.. 2024. 12. 5.
[초등수학 공부법] 분모가 같은 분수 덧셈은 왜 분자끼리만 더하면 되나? [초등수학 공부법] 분모가 같은 분수 덧셈은 왜 분자끼리만 더하면 되나?  초등 수학에서 분수 덧셈을 배우는데요.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에서는 분자끼지만 더하면 됩니다. 요령은 간단합니다.그래서 거의 모든 아이들이 계산은 잘 합니다. 그런데 그 이유를 설명하라고 하면..대부분의 아이들이 설명하지 못합니다. 예전에는 시험에서 답만 구하면 되었기에 상관 없었는데요.요즘은 설명도 해야 하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설명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그 이유를 정리했습니다.앞으로는 공부를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 12. 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