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063 [유아수학 공부법] 4세~7세 때 수학 공부, 무엇을 해야 하나? [유아수학 공부법] 4세~7세 때 수학 공부, 무엇을 해야 하나? 귀여운 아기 시기를 지나고 지나 4세 전후가 되면 '공부스러운 무언가를 해야 하나?' 생각이 들기 시작합니다. 먼저 떠오르는 것은 한글이고요. 그 다음으로 영어와 수학입니다. 한글은 책 많이 읽어주기로 시작하면 될 듯 하고요. 영어는 영유를 보내거나 알파벳, 노래, 영상 접하기로 시작하면 무리는 없을 듯 합니다. 그런데 수학이 참 애매합니다. 교구수학, 놀이수학, 사고력수학, 수학동화 어떤 것이 더 좋을까요? 위 4가지는 모두 방법입니다. '어떻게' 이고요. '무엇을' 은 아닙니다. '무엇을'이 무엇인지 빨리 말씀 드릴께요. ^^ 4~7세 수학 학습에서 '무엇을'은 '초등학교 1학년 수와 연산' 영역 내용입니다. "아니! 4세가 초.. 2024. 12. 3. [초등수학 5-2] '2. 분수의 곱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5-2] '2. 분수의 곱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둘 다 중요한 항목이지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개념과 원리만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 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유형과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이는 초등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마찬가지이고요.학교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그리고 .. 2024. 12. 2. [초등독서논술] 어떻게 하면 아이가 책을 많이 읽을까요? [초등독서논술] 어떻게 하면 아이가 책을 많이 읽을까요? 책을 많이 읽으면 여러 가지가 자연스럽게 해결됩니다. 1. 사고력 쑥쑥 2. 배경 지식 쏙쏙 3. 학습 능력 튼튼 4. 엉덩이의 힘 (집중력과 끈기죠~) 5. 아이가 밝아요 (긍정적 마인드죠~)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아이가 책을 많이 읽을까요? 단순합니다. 책 읽는 것을 즐기게 만들면 됩니다.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또 그렇다면!어떻게 하면 책 읽기를 좋아하게 될까요? 1. 책 읽기를 즐기는 데 방해되는 것 없애기 TV, 게임기(컴퓨터), 스마트폰 없애기그리고 만화책 잘 관리하기 입니다.(만화책은 전략적으로 잘 활용해야 합니다~) 2. 책 읽기를 즐기.. 2024. 12. 1.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말 (기초 영문법) [초등기초 영어문법] 일반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말 (기초 영문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등 기초 영어문법 내용 중에서 '일반동사' 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동사(動詞) : 움직일 동(動) + 말 사(詞) 위 한자의 뜻만 보면, 동사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인데요. 정확하게는 '주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말' 입니다.* 동사 : 주어의 동작(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예를 들어보겠습니다.I go to school. ⇒ 나는 학교에 간다. 위 문장에서 동사는 go 입니다. 그리고 go(가다)는 주어인 I(나)의 동작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런데 그냥 '동사' 라고 하지 않고 '일반동사' 라고 합니다.왜냐하면 다른 동사들과 구분하기 위해서인데요. 일반동사라고 해야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be동사'와 구분이 됩.. 2024. 11. 30. [초등수학 4-2] '2. 삼각형'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4-2] '2. 삼각형'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둘 다 중요한 항목이지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개념과 원리만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 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유형과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이는 초등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마찬가지이고요.학교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그리고 다양한.. 2024. 11. 29. [초등수학 3-2] '2. 나눗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3-2] '2. 나눗셈'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둘 다 중요한 항목이지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개념과 원리만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 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유형과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이는 초등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마찬가지이고요.학교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그리고 다양한 유형.. 2024. 11. 28. [초등수학 2-2] '2. 곱셈구구'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2-2] '2. 곱셈구구'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둘 다 중요한 항목이지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개념과 원리만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 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유형과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이는 초등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마찬가지이고요.학교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그리고 다양한 유.. 2024. 11. 27. [초등수학 1-2] '2. 덧셈과 뺄셈(1)'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수학 1-2] '2. 덧셈과 뺄셈(1)' 단원 대표 유형 문제 풀어보기 초등학생 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개념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일까요? 아닙니다.연산(계산)을 잘 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둘 다 중요한 항목이지만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개념과 원리만 잘 알고 있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연산(계산)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성적을 얻게 되는 것도 아닙니다.최종적으로 아이의 수학 실력을 결정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 입니다.그래서 다양한 유형과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들을 충분히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이는 초등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마찬가지이고요.학교 내신 시험이나 수능 시험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그리고 .. 2024. 11. 26. [독서논술] 책만 많이 읽어줘도 한글을 뗄 수 있나? [독서논술] 책만 많이 읽어줘도 한글을 뗄 수 있나? "우리 아이는 한글 공부 따로 하지 않았어요. 책만 열심히 읽어 주었더니 저절로 떼던데요. 7세 전후에 다 그렇게 되는 거 아닌가요?" 라고 말 하고 싶더라도... 그러지 마세요... ^^! 그 아이는 특별히 언어 지능이 좋은 아이니까요. 일반적으로는 그럴 수 없습니다. 그럼 일반적으로는 어떤 기준으로 생각해야 할까요? 2024. 11. 25. [유아~초등 독서논술] 좋은 배경지식이란 어떤 것일까? [유아~초등 독서논술] 좋은 배경지식이란 어떤 것일까?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 시대에는 특히 융합형 인재로 성장해야 좋고요. 그러한 인재로 성장시키기 위해 교육과정에 큰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문이과를 통합하면서 교과서를 바꾸었고요. 학교 시험도 서술형 주관식 문제 비중을 높였고요. 학교 내신도 수행평가 비중을 높이고 있고요. 대입은 2028년 대입개편안으로 인해 더 복잡해졌습니다.거의 교육혁명에 가까운 큰 변화가 오고 있는데요. 이런 변화에 잘 대처하려면! 정답을 빨리 떠올리는 것이 핵심이 아니라...영역을 넘나드는 창의적 사고력! 종합적 사고가 요구되는 문제 해결력! 문제 해결 과정을 잘 정리하는 논리적 사고력! 정리한 내용을 적절한 어휘로 표현하는 표현력! 등이 핵심.. 2024. 11. 24. 이전 1 ··· 3 4 5 6 7 8 9 ··· 107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