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5~6학년1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4. 초등한국사 고려 직지심체요절- 암기 말고 이해하기 고려의 금속 활자와 직지심체요절은 시험에 잘 나옵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에도 나올 수 있으니 제대로 공부해 두는 게 좋겠죠! 1. 왜 시험에 잘 나오나? 전 세계에 자랑할만한 자랑꺼리이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 대단하지! 너희들보다 인쇄술이 앞섰거덩!" 이때 자랑꺼리란!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속 활자로 책을 인쇄한 것입니다! 2. 그게 왜 대단한 일일까? 금속 활자가 나오기 전까지는 목판으로 책을 인쇄했습니다. 근데 목판은, 책을 만들 때마다 새로 목판을 새겨야 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한 '팔만대장경' 도 대단한 문화재입니다. 목판을 80000장이나 새겼죠. 근데 다른 책을 만들려면 또 다시 목판을 새겨야 합니다. 하지만! 금속 활자를 이용하면 책을 만들 때마다 해.. 2022. 9. 20. [초등수학 홈스쿨링 4-2] 4. 소수의 곱셈 - 연산 말고 문제해결력이 핵심!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의 4번째 단원은 '4. 소수의 곱셈' 인데요. 이 단원에서 핵심은 연산이 아니라 내신 문제해결력입니다. 물론 느리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만큼은 연산 연습을 해야 합니다. 다만, 그 정도로 연산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이 단원 공부를 잘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몇 번 강조했지만, 고등 수학에서 소수 곱셈은 거의 나오지 않고요. 나오더라도 간단한 수준으로만 나옵니다. 일단 5학년 2학기 수학 목차는 이렇습니다.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그리고 '4. 소수의 곱셈'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 (소수) × (자연수) 0.2 × 6을 여러 가지.. 2022. 9. 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2. 고려의 고려청자는 왜 유명할까? (암기 말고 이해하기) 옛날에는 흙을 구어 그릇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종류가 아니었습니다. 재료인 흙의 종류와 구울 때의 온도에 따라 종류가 달랐는데요. 흙의 종류 각각의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없고요. 온도 숫자 각각을 기억할 필요도 없습니다. '흙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그릇의 종류가 달라진다.' 를 기억하면 됩니다. * 토기 : 점토를 반죽하여 500도씨 이상의 고온에서 만든 그릇 (예 : 빗살무늬토기) * 도기 : 찰흙을 반죽하여 500~1100도 사이의 고온에서 만든 그릇 * 자기 : 고령토를 반죽하여 1300도 고온에서 만든 그릇 (도기 + 자기 = 도자기) * 청자 : 자기에 청색 유약을 바른 그릇 * 백자 : 자기에 백색 유약을 바른 그릇 아래 사진은 백색 유약을 바르는 사진이에요. 그리고 고려 시.. 2022. 9. 1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1. 고려 말 핵심 키워드 3 - 권문세족 고려 말 시기 첫 번째 핵심 키워드는 '신진사대부' 이고요. 두 번째 핵심 키워드는 '유교 성리학' 이고요. 세 번째 핵심 키워드는 '권문세족' 입니다. 신진사대부와 유교 성리학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 권문세족!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어렵게 느껴질 뿐입니다. 권문세족을 간단히 설명하면~ '나쁜 XX들' 입니다. 왜냐하면, 지배층인데 자기 욕심만 채웠거든요. 권문세족은 몽골의 침략 이후 새로 형성된 지배세력인데요. 누가 권문세족이었을까요? 크게 4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고려을 침략하고 지배하려 한 원나라에 빌붙은 지배층입니다. 그냥 딱 감이 오죠? 그런 인간들이니 자기 욕심만 채웠겠죠. 두 번째 그룹은 권력을 잡은 무신들입니다. 문신은 글공부.. 2022. 8.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0. 고려 말 핵심 키워드 2 - 유교성리학 고려 말의 첫 번째 핵심 키워는 '신진사대부' 였고요. 두 번째 핵심 키워드는 '유교 성리학' 입니다. 유교 성리학이 우리나라 역사에 끼친 영향은 엄청납니다. 역사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의 삶에 끼친 영향도 엄청나고요. 그래서 '유교 성리학' 을 잘 이해하면! 한국사 공부뿐만 아니라 현재 대한민국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근데... 어렵습니다. 그래서 차근차근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교 성리학' 이 무엇인지, 최대한 단순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순한 정리이기 때문에 '전부'가 아니라 '일부'임을 감안해 주시고요. 우선 감만 좀 잡아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유교란 무엇일까요? 옛날 중국 공자, 맹자, 노자 등의 가르침에서 시작된 사상입니다. 어떻게 .. 2022. 8. 24.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3. 합동과 대칭' 교과서 공부 제대로!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교과서는 6가지 대단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이 중 '3. 합동과 대칭' 단원 교과서 공부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일단 이 단원에 나오는 수학 용어들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는데요. 어떤 개념들인지 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은 '합동'입니다. * 합동 : 합할 합(合) + 한 가지 동(同) 모양도 같고, 크기도 같아서 완전히 겹치는 두 도형이 합동입니다.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도 나옵니다. '겹치는'이 핵심입니다. 자칫 헷갈릴 수 있습니다. 선대칭도형, 대칭축도 나오고요. 점대칭도형과 대칭의 중심도 나옵니다. 만약 이 단원에 나오는 '합.. 2022. 8. 1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9. 고려 말 핵심 키워드 1 - 신진사대부 고려말 시기와 관련해서 이해하면 좋은 핵심 키워드 중 첫 번째 키워드는 바로!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 입니다. 뭔가 어렵게 느껴지는 한국사 용어인데요. 이렇게 정리하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한국사 공부~ 어렵게 느껴지게 하지 마세요~ ^ㅡ^ 일단 각 글자의 음과 뜻을 살펴보면요. 신(新) : 새로울 신 진(進) : 나아갈 진 사(士) : 선비 사 대(大) : 큰, 훌륭한 부(夫) : 지아비, 사내 신진사대부 : 새로운(신) 길로 나아가는(진) 선비로써(사) 큰 뜻을(대) 품은 사내들(부) 신진사대부가 등장한 때는 고려 말입니다. 고려 말은 백성들이 살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왕은 나라를 제대로 다스를 힘이 없었고요. 지배층(권문세족)은 자기들 재산 늘리는 것에만 관심이 있었고요... 2022. 8. 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8. 고려 원 간섭기와 공민왕의 노력 1. 원의 간섭을 받게 된 고려 고려는 원(몽골)에게 완전히 항복하였고... 원은 고려를 자기 마음대로 다스리기 시작했어요. 원이 고려에 한 짓은 여러 가지인데요. 그 중 대표적으로 3가지만 살펴보면요~ T.T 첫째, 고려 땅에 원의 관청을 세웠어요. 원이 고려 땅에 세운 관청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없어요. 그냥 한번 읽어 보세요. - 쌍성총관부, 동녕부, 탐라총관부 등 고려 땅에 자신들의 관청을 세웠다는 것은... 나라땅을 빼앗긴 거랍니다... 둘째, 고려의 왕을 누가 할 것인지를 원나라에서 결정했어요. 아래 고려 왕의 이름을 보세요. (왕 이름 하나 하나를 기억할 필요는 없어요~) 24번째 왕 : 원종 25번째 왕 : 충렬왕 26번째 왕 : 충선왕 27번째 왕 : 충숙왕 28번째 왕 : 충혜왕 29번.. 2022. 8. 9. 이전 1 ··· 3 4 5 6 7 8 9 ··· 18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