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5~6학년1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4. 초등한국사 고려 직지심체요절- 암기 말고 이해하기 고려의 금속 활자와 직지심체요절은 시험에 잘 나옵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에도 나올 수 있으니 제대로 공부해 두는 게 좋겠죠! ​ ​ 1. 왜 시험에 잘 나오나? ​ 전 세계에 자랑할만한 자랑꺼리이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 대단하지! 너희들보다 인쇄술이 앞섰거덩!" ​ 이때 자랑꺼리란!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속 활자로 책을 인쇄한 것입니다! 2. 그게 왜 대단한 일일까? ​ 금속 활자가 나오기 전까지는 목판으로 책을 인쇄했습니다. 근데 목판은, 책을 만들 때마다 새로 목판을 새겨야 했습니다. ​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한 '팔만대장경' 도 대단한 문화재입니다. 목판을 80000장이나 새겼죠. 근데 다른 책을 만들려면 또 다시 목판을 새겨야 합니다. ​ 하지만! 금속 활자를 이용하면 책을 만들 때마다 해.. 2022. 9. 20.
[초등수학 홈스쿨링 4-2] 4. 소수의 곱셈 - 연산 말고 문제해결력이 핵심!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의 4번째 단원은 '4. 소수의 곱셈' 인데요. 이 단원에서 핵심은 연산이 아니라 내신 문제해결력입니다. ​ 물론 느리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만큼은 연산 연습을 해야 합니다. 다만, 그 정도로 연산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이 단원 공부를 잘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 몇 번 강조했지만, 고등 수학에서 소수 곱셈은 거의 나오지 않고요. 나오더라도 간단한 수준으로만 나옵니다. ​ 일단 5학년 2학기 수학 목차는 이렇습니다. ​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 그리고 '4. 소수의 곱셈'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 (소수) × (자연수) 0.2 × 6을 여러 가지.. 2022. 9. 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2. 고려의 고려청자는 왜 유명할까? (암기 말고 이해하기) 옛날에는 흙을 구어 그릇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종류가 아니었습니다. 재료인 흙의 종류와 구울 때의 온도에 따라 종류가 달랐는데요. ​ 흙의 종류 각각의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없고요. 온도 숫자 각각을 기억할 필요도 없습니다. '흙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그릇의 종류가 달라진다.' 를 기억하면 됩니다. ​ * 토기 : 점토를 반죽하여 500도씨 이상의 고온에서 만든 그릇 (예 : 빗살무늬토기) * 도기 : 찰흙을 반죽하여 500~1100도 사이의 고온에서 만든 그릇 * 자기 : 고령토를 반죽하여 1300도 고온에서 만든 그릇 (도기 + 자기 = 도자기) * 청자 : 자기에 청색 유약을 바른 그릇 * 백자 : 자기에 백색 유약을 바른 그릇 아래 사진은 백색 유약을 바르는 사진이에요. 그리고 고려 시.. 2022. 9. 1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1. 고려 말 핵심 키워드 3 - 권문세족 고려 말 시기 첫 번째 핵심 키워드는 '신진사대부' 이고요. 두 번째 핵심 키워드는 '유교 성리학' 이고요. 세 번째 핵심 키워드는 '권문세족' 입니다. ​ 신진사대부와 유교 성리학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고요. 권문세족!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어렵게 느껴질 뿐입니다. ​ 권문세족을 간단히 설명하면~ '나쁜 XX들' 입니다. 왜냐하면, 지배층인데 자기 욕심만 채웠거든요. 권문세족은 몽골의 침략 이후 새로 형성된 지배세력인데요.​​ 누가 권문세족이었을까요? 크게 4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그룹은 고려을 침략하고 지배하려 한 원나라에 빌붙은 지배층입니다. 그냥 딱 감이 오죠? 그런 인간들이니 자기 욕심만 채웠겠죠. ​ 두 번째 그룹은 권력을 잡은 무신들입니다. 문신은 글공부.. 2022. 8.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70. 고려 말 핵심 키워드 2 - 유교성리학 고려 말의 첫 번째 핵심 키워는 '신진사대부' 였고요. 두 번째 핵심 키워드는 '유교 성리학' 입니다. 유교 성리학이 우리나라 역사에 끼친 영향은 엄청납니다. 역사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의 삶에 끼친 영향도 엄청나고요. ​ 그래서 '유교 성리학' 을 잘 이해하면! 한국사 공부뿐만 아니라 현재 대한민국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근데... 어렵습니다. 그래서 차근차근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교 성리학' 이 무엇인지, 최대한 단순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단순한 정리이기 때문에 '전부'가 아니라 '일부'임을 감안해 주시고요. 우선 감만 좀 잡아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유교란 무엇일까요? 옛날 중국 공자, 맹자, 노자 등의 가르침에서 시작된 사상입니다. ​ 어떻게 .. 2022. 8. 24.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3. 합동과 대칭' 교과서 공부 제대로!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교과서는 6가지 대단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 이 중 '3. 합동과 대칭' 단원 교과서 공부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일단 이 단원에 나오는 수학 용어들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는데요. 어떤 개념들인지 보겠습니다. ​​ 가장 먼저 나오는 개념은 '합동'입니다. * 합동 : 합할 합(合) + 한 가지 동(同) ​ 모양도 같고, 크기도 같아서 완전히 겹치는 두 도형이 합동입니다.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도 나옵니다. '겹치는'이 핵심입니다. 자칫 헷갈릴 수 있습니다. 선대칭도형, 대칭축도 나오고요. 점대칭도형과 대칭의 중심도 나옵니다. 만약 이 단원에 나오는 '합.. 2022. 8. 1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9. 고려 말 핵심 키워드 1 - 신진사대부 고려말 시기와 관련해서 이해하면 좋은 핵심 키워드 중 첫 번째 키워드는 바로!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 입니다. ​ 뭔가 어렵게 느껴지는 한국사 용어인데요. 이렇게 정리하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한국사 공부~ 어렵게 느껴지게 하지 마세요~ ^ㅡ^ ​ 일단 각 글자의 음과 뜻을 살펴보면요. ​ 신(新) : 새로울 신 진(進) : 나아갈 진 사(士) : 선비 사 대(大) : 큰, 훌륭한 부(夫) : 지아비, 사내 ​ 신진사대부 : 새로운(신) 길로 나아가는(진) 선비로써(사) 큰 뜻을(대) 품은 사내들(부) 신진사대부가 등장한 때는 고려 말입니다. 고려 말은 백성들이 살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 왕은 나라를 제대로 다스를 힘이 없었고요. 지배층(권문세족)은 자기들 재산 늘리는 것에만 관심이 있었고요... 2022. 8. 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68. 고려 원 간섭기와 공민왕의 노력 1. 원의 간섭을 받게 된 고려 고려는 원(몽골)에게 완전히 항복하였고... 원은 고려를 자기 마음대로 다스리기 시작했어요. 원이 고려에 한 짓은 여러 가지인데요. 그 중 대표적으로 3가지만 살펴보면요~ T.T 첫째, 고려 땅에 원의 관청을 세웠어요. 원이 고려 땅에 세운 관청 이름을 기억할 필요는 없어요. 그냥 한번 읽어 보세요. - 쌍성총관부, 동녕부, 탐라총관부 등 고려 땅에 자신들의 관청을 세웠다는 것은... 나라땅을 빼앗긴 거랍니다... 둘째, 고려의 왕을 누가 할 것인지를 원나라에서 결정했어요. 아래 고려 왕의 이름을 보세요. (왕 이름 하나 하나를 기억할 필요는 없어요~) 24번째 왕 : 원종 25번째 왕 : 충렬왕 26번째 왕 : 충선왕 27번째 왕 : 충숙왕 28번째 왕 : 충혜왕 29번.. 2022. 8. 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