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5~6학년1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5. 후삼국(1) - 왕건의 등장 1. 후삼국이란? 우리나라는 세 나라(삼국)로 나눠져 있던 때가 두 번 있었어요. * 삼국 ⇒ 셋 삼(三) + 나라 국(國) / 세 나라로 나뉨 첫 번째 삼국는 이때였죠. 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로 나눠졌었어요. 통일은 신라가 했고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한참 후에 다시 여러 나라로 갈라졌어요. 발해랑 신라는 원래 있었고요. 후고구려와 후백제라는 나라가 생겼어요. 발해, 신라, 후고구려, 후백제 4개 나라로 나눠졌다가... 발해가 멸망하고, 후고구려가 고려로 변하면서 고려, 후백제, 신라 3개 나라로 나눠졌어요. 두 번째로 3개 나라로 나눠진 거죠. 그래서 후고구려와 후백제가 등장하면서부터를 '후삼국 시대' 라고 해요. * 후삼국 ⇒ 뒤 후(後) + 셋 삼(三) + 나라 국(國) / 뒤에(두 번.. 2022. 5.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4. 통일 신라의 석굴암, 발해 문화의 특징 1. 일본이 통째로 뜯어가려 했던 석굴암! 통일 신라의 불교 문화재 중에서 두 번째로 소개할 문화재는 석굴암이에요. * 석굴암 ⇒ 돌 석(石) + 동굴 굴(窟) + 절 암(庵) 돌(석)이면서 동굴인 절(암)이네요. 돌이면서 동굴인 절은 다른 나라에도 있어요. 아래 사진은 '인도'라는 나라의 석굴이에요. 그런데 석굴암은 다른 나라의 석굴과 다른 점이 있어요. 다른 나라의 석굴은 원래 있던 굴을 이용해 절을 만든 거고요. 통일 신라의 석굴암은 굴을 이용한 게 아니라 아예 처음부터 만든 거예요. 자연에 의해 이미 만들어진 굴을 이용한 게 아니라!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 신라 사람들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거랍니다! 그리고 진짜 잘 만들었어요! 그래서 불국사처럼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잘 보존하고 있고요. ^^.. 2022. 5.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3. 통일 신라의 불교 - 원효 스님, 불국사 1. 통일 신라 백성들에게 불교를 널리 퍼뜨린 원효 스님 한밤중에 해골에 담긴 썩은 물을 시원한 물로 생각하고 벌컥벌컥 마셨던 스님, 누구실까요? 그 스님의 이름은 '원효'예요. ^^!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당과 싸우기도 했지만 나중에는 친하게 지냈죠. 그리고 당의 앞선 문물을 배우려고 학생도 보내고 스님도 보냈어요. 장보고는 당에 가서 군인이 되기도 했고요. 의상과 원효 스님도 당에 불교 공부하러 가려 했고요. 근데 의상 스님은 당에 갔지만, 원효 스님은 당에 가지 않고 신라에 남았어요. 왜 그랬을까요? 원효 스님은 해골에 담긴 물을 마신 후 이런 생각을 한 거예요.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 있구나. 해골에 담긴 썩은 물도 내가 시원한 물이라고 생각하면 시원한 물로 느껴지는 것처럼..." 당에 가지.. 2022. 4. 2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2. 신라 평민과 발해 사람들의 생활 모습 1. 할 일이 많은 신라의 평민들 귀족들이 기와집에서 당의 옷과 비슷한 비단옷을 입고 숯불로 지은 밥 먹으며 주사위 놀이 할 때... 나라를 위해 세금을 내야 했던 평민들의 생활은 어땠을까요? 평민들은 대부분 농사를 지었어요. 농사 지어 수확한 곡식 중 일부는 귀족에게 바쳐야 했고요. 일부는 나라에 세금으로도 내야 했어요. 전쟁을 대비해서 군사 훈련도 받아야 했고요. 농사도 지으면서요... 궁궐이나 성 등을 짓는 일도 해야 했어요. 농사도 지으면서요... 자신들이 살 집도 지어야 했죠. 군데군데 고치기도 하고요. 농사도 지으면서요... T.T 평민들은 초가집이나 나무로 만든 집에서 살았어요. 기와는 비쌌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로 지붕을 이은 초가집에서 주로 살았어요. 벽은 흙과 풀, 나무로 .. 2022. 4. 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1. 신라 귀족의 생활, 동궁과 월지 1. 신라 귀족의 생활모습 삼국을 통일한 후 신라에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요? 아래 두 지도에서 신라를 찾아 보세요. ^^ 땅 크기를 비교해 보세요. 어떤가요? 신라만 비교해 보면 땅 크기가 몇 배로 커졌죠! 통일 이후 신라는 영토가 많이 넓어졌어요. 영토가 넓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인구도 늘었죠. 백제와 고구려 유민들도 신라 백성이 되었으니까요. 인구가 늘었다는 것은! 일 할 사람도 늘었다는 것이고요. 세금 낼 사람도 늘었다는 거죠. 통일 신라의 지배자들은 더 부자가 된 거예요. 통일 이후 백성들이 늘어나면서 백성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세금이 늘어났고요. 늘어난 세금으로 도읍인 금성(경주)을 새로 꾸몄답니다. 이렇게요~ ^^! 통일 신라는 도읍인 금성(경주)을 새로 꾸밀 때 당의 도읍인 장안성을 본따 만들었어요.. 2022. 4. 1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50. 발해의 교류, 신라 해상왕 장보고 1. 발해도 함께 한 교류! 발해도 신라, 당, 일본과 친하게 지내게 되었죠. 당연히 교류도 했고요. 발해는 거란과도 교류를 했었어요. 고구려가 멸망했을 때, 당에서 고구려 유민들을 자기 나라로 끌고 갔었죠. 고구려 유민들은 당의 땅에서 힘들게 살아야 했고요. 그 때 거란족과 말갈족도 고구려 유민들처럼 차별 대우를 받으며 힘들게 살았어요. 참다 못한 거란족 사람들이 당과 전쟁을 벌였고요.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도 거란족과 함께 당과 싸웠었죠. 그래서 발해는 거란족 사람들과도 자연스럽게 교류했답니다. ^^ 발해는 당과 일본에 사신도 보냈어요. 사신은 다른 나라에 보낸 신하를 말해요. 지금으로 치면 외교관이죠. * 사신 ⇒ 심부름꾼 사(使) + 신하 신(臣) / (다른 나라에) 심부름 보낸 신하 발해가 당과.. 2022. 4. 4.
[초등수학 5-1]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교과서 핵심 내용 초등 5학년 1학기 수학 6단원은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인데요. 이 단원은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한 단원입니다. 삼각형의 넓이 공식, 사각형, 평행사변형, 마름모, 사다리꼴의 넓이 구하는 공식 등이 나오는 단원입니다. 우리 부모들에게도 익숙한 내용들이죠. 단, 각각의 공식을 무조건 암기하는 것은 절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서술형 논술형이 강화되기 때문에 개념과 공식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단원을 공부할 때에도 각각의 공식이 왜 그런 식으로 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을 보겠습니다. ​ 1. 자연수의 혼합 계산 2. 약수와 배수 3. 규칙과 대응 4. 약분과 통분​ 5. 분수의 덧셈과 뺄셈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2022. 3.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49. 신라, 당 그리고 서역과 교류하다 전쟁은 그만 하고 교류 합시다! 신라와 당은 친했다가 싸웠다가 다시 친해졌어요. 백제와 고구려를 공격할 때에는 친했죠. 한 팀이었어요. 두 나라가 힘을 모아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죠... (아쉽다... ㅡ,.ㅡ) 그 다음에는 싸웠어요. 당이 신라까지 차지하려 했잖아요. 그래서 싸우고 또 싸워 신라가 승리했죠. (그건~ 잘 했네~ ^^) 그 다음에는 다시 친해졌어요. 발해가 등장하자 다시 한 팀이 되었거든요. 발해는 고구려를 이은 나라여서 신라와 당 모두 발해를 적으로 생각한 거죠. 그런데... 너무 전쟁을 자주 해서 신라, 발해, 당 모두 지친 상태였고요. 그래서 그냥 다 함께 친해지기로 한 거예요. (그래... 백성들만 불쌍하잖아...) 친한 사이니까 서로 장사도 했어요. 나라끼리 물건을 사고 파는 .. 2022. 3. 2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