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371 [초등수학 구구단] X9 빠르게 하는 방법 (곱셈구구) 초등 수학에서는 연산(계산)의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사칙연산이 나오고요. 한 자리 수, 두 자리 수, 세 자리 수 각각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도 나옵니다. 그런데 중등과 고등 수학에 두 자리 수, 세 자리 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초등 연산(계산)은 초등 때 할 수 있으면 됩니다. 단, 구구단은 잘 해야 합니다. 아주 잘 해야 합니다. 초등 수학뿐만 아니라 중등과 고등 때에도 구구단은 계속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구구단을 잘 한다는 것은, 결국은 4×7 하면 28이 바로 나오고, 6×9 하면 54가 바로 나오는 것입니다. 만약 바로 나오지 않고 시간이 좀 걸리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021. 12. 6. [초등수학 핵심문제] 3-2 '4. 분수' 이 문제는 풀어야 해요~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4단원은 '4. 분수' 인데요. 내 아이는 이 단원 공부를 제대로 충분히 잘 하고 있을까요? 1. 곱셈 2. 나눗셈 3. 원 4. 분수 5. 들이와 무게 6. 자료의 정리 이전 포스팅에서 이 단원 공부의 핵심에 대해 정리했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단원 공부에서 꼭 풀 수 있어야 하는 문제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교과서 핵심 내용을 완벽하게 공부한 다음에는 난이도 하 문제들을 풀면서 내신 문제해결력의 기초를 훈련해야 하는데요. 난이도 하 문제는 아이의 수학 실력에 따라 많이 풀어야 할 수도 있고 적게 풀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수학 실력이 좋은 아이가 난이도 하 문제를 지나치게 많이 푸는 경우입니다. 시간 낭비, 집중력 저하, 실수 반복, 수학 .. 2021. 12.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5. 삼국의 문화(4) - 고구려와 백제 고분 (한능검) 1. 고구려의 고분과 벽화를 보니~ 고구려는 진취적이고 강인해요! 아래 그림은 고구려의 고분인 '장군총'을 그린 거예요. 시체를 넣는 관을 '널'이라고 불렀잖아요. 그러면 '널방'은 '널(관)을 넣어 두는 방' 이고요. '널길'은 '널방으로 가는 길'이겠죠. (아~~~ 쉽다~ ^^) 고구려 사람들은 처음에는 무덤을 이런 식으로 만들었어요. (고구려 초기 무덤인 장군총) 고구려 사람들은 처음에는 위 장군총과 같은 방법으로 무덤을 만들다가... 나중에는 돌로 방을 만들고 그 위를 흙으로 덮어서 무덤을 만들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그랬을까요? ^^!!) 그리고 돌로 만든 방의 벽과 천장에 벽화를 그렸답니다. * 벽화 ⇒ 벽 벽(壁) + 그림 화(畫) / 벽에 그린 그림 위 고분의 이름은 '무용총'이에요. 위 .. 2021. 11. 30. [초등과학 홈스쿨링 4-2] 4. 화산과 지진 - 화산, 화산 분출물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4단원은 '4. 화산과 지진' 인데요. 교과서에는 이런 문장이 나옵니다. ------------------------------ 화산은 마그마가 분출하여 생긴 지형입니다.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높은 것을 마그마라고 합니다. ----------------------------- 책 많이 보고 공부 잘 하는 아이라면, 이 문장은 읽으면 이해가 됩니다. 공부만 잘 하는 아이라면, 이 문장을 이해하는 데 다소 노력을 들여야 합니다. 둘 다 아닌 아이라면, 읽어도 뭔 소리인지 잘 모릅니다. 읽기 싫어지죠... 간혹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들 중에 위 문장을 읽고 이해하고 따져 보는 과정 없이 그냥 통째로 외워버리는 아이도 있습니다. 가장 미련한(?) 경우죠. 노력은 더 많이 하는데.... 2021. 11. 29. [초등과학 홈스쿨링 3-2] 4. 물질의 상태 - 고체, 액체, 기체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과학 4단원은 '4. 물질의 상태' 인데요. 이 단원의 핵심 내용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2. 동물의 생활 3. 지표의 변화 4. 물질의 상태 5. 소리의 성질 1. '물질의 상태'란 무엇일까요? 가끔 이런 식으로 표현하기도 하죠. "OO이 지금 어떤 상태니?" "건드리지 마라. 지금 완전 열 받은 상태다~" '물질의 상태'에서 '상태'도 비슷한 개념입니다. "지금 물은 어떤 상태인가요?" "고체 상태예요." "아~ 그럼 언 상태군요." "지금은 어떤 상태인가요?" "액체 상태예요." "아~ 얼음이었다가 녹았군요." '물질의 상태' 란 어떤 물질이 현재 딱딱한 고체 상태인지, 흐르는 액체 상태인지, 돌아다니는 기체 상태인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2. 물질의 .. 2021. 11. 25. [초등수학 핵심문제 1-2] 4. 덧셈과 뺄셈(2) 아이 실력 이 문제로 판단하세요 초등학교 1학년은, 아직은 아이의 수학 실력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시기입니다. 수학 실력 외에도 국어 문해력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초등 1학년 시기는, 수학 실력을 훈련하면서 동시에 아이의 정체 파악도 함께 하는 시기입니다. 그리고 '빨리' 보다 '정확하게, 탄탄하게, 차근차근'이 훨씬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내가 수학을 쫌 하는구나~' 라는 자신감을 갖게 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이도가 좀 높은 문제의 경우, 충분히 도전해 볼만한 아이라면 해 보는 것이 좋고요. 역시나 아이 실력은 교과서 문제 또는 학교 단원평가 문제만으로 판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이 우리나라에서 수학 공부 잘 하는 방법.. 2021. 11. 2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4. 삼국의 문화(3) - 귀족도 차별한 신라, 사냥을 즐긴 고구려 (한능검) 1. 신라는 같은 귀족 간에도 신분 차별이 심했다! 모든 귀족이 똑같지는 않았어요. 심지어 신라에서는 귀족 안에서도 신분 차이가 있었답니다. 신분이 높은 귀족과 신분이 낮은 귀족 간에는 어떤 차별이 있었을까요? 신라의 귀족은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신분의 차별이 심했어요. 우선 옷 색깔이 달랐어요. 옷 색깔만 봐도 저 귀족의 신분이 높은지 낮은지를 금방 알 수 있었고요. 집 크기와 방 크기, 담장의 높이도 마음대로 할 수 없었어요. 신분이 낮은 귀족일수록 집을 작게 지어야 했고요. 담장 높이도 낮게 해야 했어요. 수레의 크기도 달랐고요. 그리고 가질 수 있는 말의 수도 정해져 있었어요. 신분이 가장 높은 귀족은 말을 얼마든지 가질 수 있었지만... 어떤 귀족은 다섯 마리까지만 가질 수 있었고요. 어떤 귀족.. 2021. 11. 22.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4. 소수의 곱셈 - 연산 말고 문제해결력이 핵심!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의 4번째 단원은 '4. 소수의 곱셈' 인데요. 이 단원에서 핵심은 연산이 아니라 내신 문제해결력입니다. 물론 느리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만큼은 연산 연습을 해야 합니다. 다만, 그 정도로 연산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이 단원 공부를 잘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몇 번 강조했지만, 고등 수학에서 소수 곱셈은 거의 나오지 않고요. 나오더라도 간단한 수준으로만 나옵니다. 일단 5학년 2학기 수학 목차는 이렇습니다.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그리고 '4. 소수의 곱셈'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 (소수) × (자연수) 0.2 × 6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해 .. 2021. 11. 18.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7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