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초등홈스쿨링148 [공부법] 7세(예비초) 겨울방학 어떻게 보낼까? 아래 글은 개인 의견입니다. 참고 사항이고요.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12월 7세, 새해 1~2월 8세라면 이번 겨울이 초등 입학 전 겨울방학이죠. 왠지 해야 할 것이 많게 느껴지는데요. 아래 내용은 겨울 때부터 초등 1학년 내내 적용되는 내용입니다. 초등 1학년 입학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1. 학교 생활 적응 준비 2. 선생님, 다른 학부모들과의 관계 맺기 3. 국어, 통합교과서, 수학, 영어 대비 하나씩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학교 생활 적응 준비 학교에서 알아서 해 줍니다. 단기간에 준비되는 것도 아니고요. 집에서 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직접 학교에 가서 보고 듣고 경험해야 알 수 있는 거죠. 그보다는 지금까지 집에서 어떤 아이로 성장해 왔는지.. 2021. 12. 20. [초등수학 홈스쿨링 3-2] '5. 들이와 무게' 단원 교과서의 핵심은 무엇?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수학은 6개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곱셈 2. 나눗셈 3. 원 4. 분수 5. 들이와 무게 6. 자료의 정리 이 중 '5. 들이와 무게'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지만 '들이'와 '부피'에 대해 잘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요. 우유병에 우유가 담겨 있습니다. 이때 부피는 우유병과 우유 전체의 양이고, 들이는 우유만의 양입니다. 그리고 들이와 부피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는 똑같습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단위인 L와 mL는 반드시 잘 알아야 합니다. 그 다음, 어림하여 말할 때 '약' 이라는 표현을 쓴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요. 들이 덧셈과 뺄셈이 나오는데요. 1mL1000개가 1L라는 것을 꼭 기억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들이 덧.. 2021. 12. 17. [초등수학 핵심문제] 5-2 '4. 소수의 곱셈' 이 문제는 풀어야 해요~ 초등학교 5학년은 수학 선행 시작을 결정해야 하는 학년입니다. 요즘 수학 선행이 초등 2학년까지 내려온 지역도 있는데요. 초등 2학년 때부터 제대로 된 수학 선행을 할 수 있는 아이들은 진짜 극소수이고요. 개념이나 기초 수준의 선행을 할 바에는 자기 학년 문제해결력을 탄탄하게 다지는 것이 더 우선순위입니다. 그에 비해 초등 5학년은, 가급적 수학 선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은 학년입니다. 물론 이 때에도 제대로 된 선행을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일단 인문계열이냐 이공계열이냐와 함께 특목자사고냐 일반고냐에 대한 방향을 정한 후 그에 맞는 난이도로 선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판단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학년인 5학년 수학을 어느 수준까지 해내는지이고요. 이를 확인하려면.. 2021. 12. 10. [공부법] 초등 한자 공부 제대로 - 道, 自, 動, 立 (한자검정능력시험 대비) 초등 때 독서, 영어, 수학 공부는 반드시 진행해야 하는 공부입니다. 그렇다면 한자는 어떨까요? 초등 때 한자 공부도 꼭 해야 할까요? 이에 대해서는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고요. 초등 때 한자 공부 꼭 해야 하나? 하면 뭐가 좋을까? 혹시 시간 낭비? https://tv.naver.com/v/19272243 초등 때 한자 공부 꼭 해야 하나? 하면 뭐가 좋을까? 혹시 시간 낭비? 행공신TV | 초등 때 한자 공부 꼭 해야 할까요?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하는 게 좋을까요? 한자 공부를 위해 체크해야 할 사항은 어떤 것들일까요? 요즘 아이들은 할 것이 정말 많습니다. 물론 다 tv.naver.com 한자를 배운다는 것은 모양, 음, 뜻 3가지(한자의 3요소)를 함께 배우고 익히는 것입니다. 공부 방법으.. 2021. 12. 7. [강의 안내] 현명한 자기주도 초등공부법 1개월 자유수강권 안내 (선착순 15명) 올해(2021년) 기준으로 초등학생들은 2022 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공부를 해야 합니다. 특히 핵심은 초중고 서술형 논술형 확대인데요. 이에 맞춰 독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한국사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부모 입장에서는 워낙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방향 잡는 것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정해진 기간 내에 아무 때나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강.의를 마련했습니다. 올해 서울대에 입학한 아이의 자기주도 공부 노하우도 담았으니 꼭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강.의 수강 신청 및 이용 방법에 대해서는 해당 업체에 문의해 주세요.) 아래 강.의를 효율적으로 듣는 방법을 추천하면요~ (1) 1강부터 30강까지 최대한 빨리 대충 듣는다. (아주 대충 파악하기) (2) 1강부터 다시 듣는다. 단.. 2021. 12.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5. 삼국의 문화(4) - 고구려와 백제 고분 (한능검) 1. 고구려의 고분과 벽화를 보니~ 고구려는 진취적이고 강인해요! 아래 그림은 고구려의 고분인 '장군총'을 그린 거예요. 시체를 넣는 관을 '널'이라고 불렀잖아요. 그러면 '널방'은 '널(관)을 넣어 두는 방' 이고요. '널길'은 '널방으로 가는 길'이겠죠. (아~~~ 쉽다~ ^^) 고구려 사람들은 처음에는 무덤을 이런 식으로 만들었어요. (고구려 초기 무덤인 장군총) 고구려 사람들은 처음에는 위 장군총과 같은 방법으로 무덤을 만들다가... 나중에는 돌로 방을 만들고 그 위를 흙으로 덮어서 무덤을 만들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그랬을까요? ^^!!) 그리고 돌로 만든 방의 벽과 천장에 벽화를 그렸답니다. * 벽화 ⇒ 벽 벽(壁) + 그림 화(畫) / 벽에 그린 그림 위 고분의 이름은 '무용총'이에요. 위 .. 2021. 11. 30. [초등과학 홈스쿨링 4-2] 4. 화산과 지진 - 화산, 화산 분출물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4단원은 '4. 화산과 지진' 인데요. 교과서에는 이런 문장이 나옵니다. ------------------------------ 화산은 마그마가 분출하여 생긴 지형입니다.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높은 것을 마그마라고 합니다. ----------------------------- 책 많이 보고 공부 잘 하는 아이라면, 이 문장은 읽으면 이해가 됩니다. 공부만 잘 하는 아이라면, 이 문장을 이해하는 데 다소 노력을 들여야 합니다. 둘 다 아닌 아이라면, 읽어도 뭔 소리인지 잘 모릅니다. 읽기 싫어지죠... 간혹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들 중에 위 문장을 읽고 이해하고 따져 보는 과정 없이 그냥 통째로 외워버리는 아이도 있습니다. 가장 미련한(?) 경우죠. 노력은 더 많이 하는데.... 2021. 11. 29. [초등과학 홈스쿨링 3-2] 4. 물질의 상태 - 고체, 액체, 기체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과학 4단원은 '4. 물질의 상태' 인데요. 이 단원의 핵심 내용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2. 동물의 생활 3. 지표의 변화 4. 물질의 상태 5. 소리의 성질 1. '물질의 상태'란 무엇일까요? 가끔 이런 식으로 표현하기도 하죠. "OO이 지금 어떤 상태니?" "건드리지 마라. 지금 완전 열 받은 상태다~" '물질의 상태'에서 '상태'도 비슷한 개념입니다. "지금 물은 어떤 상태인가요?" "고체 상태예요." "아~ 그럼 언 상태군요." "지금은 어떤 상태인가요?" "액체 상태예요." "아~ 얼음이었다가 녹았군요." '물질의 상태' 란 어떤 물질이 현재 딱딱한 고체 상태인지, 흐르는 액체 상태인지, 돌아다니는 기체 상태인지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2. 물질의 .. 2021. 11. 2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