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초등홈스쿨링148

[초등과학 홈스쿨링 3-1] '2. 물질의 성질' 핵심 내용 쉽게 이해하기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의 대단원은 이렇습니다. ​ 1. 과학자는 어떻게 탐구할까요? 2. 물질의 성질 3. 동물의 한살이 4. 자석의 이용 5. 지구의 모습 ​ 이 중 '2. 물질의 성질' 단원의 핵심 키워드(용어)는 '물체' 와 '물질' 입니다. 그런데 두 키워드의 개념을 구분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절반이나 된다고 합니다. ​ 물체의 개념은 무엇이고, 물질의 개념은 무엇일까요? 개념 학습을 제대로 하면 크게 어렵지는 않을 건데요... 교과서에는 이렇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 --------------------------------------- 물체를 만드는 재료를 물질이라고 합니다. 금속, 플라스틱, 나무, 고무, 밀가루는 물체를 만들 때 필요한 재료인 물질입니다. 이 밖에도 우리 주변에는.. 2022. 1. 14.
[코칭법] 초등 공부에서 넘어야 할 3개의 큰 산 예전에는 초등학생 때 다 함께 놀았습니다. 시험 때 열심히 공부 하는 아이들이 있었지만 평소에는 다 함께 놀았습니다. 근데 그건 우리 부모가 어릴 때 얘기입니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고요. 심지어 초등 때 중고등 성적이 거의 결정된다고 말 할 정도로 달라졌습니다. 그리고 달라진 상황에서 봤을 때, 초등 공부에서 넘어야 할 3개의 큰 산이 있습니다. 이 3개의 산을 잘 넘어야 중고등 때에도 잘 할 수 있게 되는데요. 언제, 어떤 산일까요? ● 첫 번째 산 : 7세~초등 1학년 시기 이 시기는 초등 입학 전후에 읽기독립을 이루어야 하는 시기이고요. 초등 1학년 때부터 시작되는 수학을 제대로 대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교과서만 보면, 초등학교 1학년 국어와 수학은 쉽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교과서는 기초 교재입니.. 2022. 1. 13.
[강의 안내] 2022년 1~2월 오프라인 강의 안내 2022년 1월~2월 오프라인 강의 일정을 올립니다. 3세~7세 아이를 둔 유아 부모님 대상의 강좌가 있고요. 5세 유치부터 초등 6학년 아이를 둔 부모님 대상의 강좌도 있습니다. 특히 5세~7세 시기는 학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때 학습은 우리 부모가 했던 공부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훨씬 폭넓은 의미이고요. 독서도 포함되는 학습입니다. ​ 본질적으로 학습이란 세상을 배우고 익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세상의 핵심은 수리(수학), 사회, 과학이고요. 이 핵심을 언어(국어, 영어 등)를 통해 배우고 익힙니다. 어쨌든, 본격적인 학습의 첫 시기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공부가 아닌 학습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면서 자세한 내용은 강의 때 전해 드리겠습니다. ​ 일정이 잡혀 있기.. 2021. 12. 29.
[초등홈스쿨링] 초등 5학년 겨울방학 어떻게 보낼까? 초등 5학년 겨울방학은 초등 6학년을 생각해야 하는 겨울방학인데요. 기본적으로 초등 4학년 겨울방학과 비슷합니다. 그래서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어 보시고요. 다른 점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 개인 의견이니 꼭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 [초등홈스쿨링] 초등 4학년 겨울방학 어떻게 보낼까? 1. 국어와 독서 ​ 초등 4학년 겨울방학이 국어 대비를 독서에서 독해 중심으로 바꾸는 시기라면, 초등 5학년 겨울방학도 독해 중심으로​ 진행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국어 대비는 4학년 겨울방학 포스팅과 비슷합니다. 아이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것도 4학년 겨울방학 포스팅과 비슷합니다. ​ 그런데 독서는 좀 다릅니다. 초등 5학년 독서는 한국사 초집중이고, 초4 겨울방학 독서도 한국사 집중이라면! 초등 6학년.. 2021. 12. 27.
[초등홈스쿨링] 초등 4학년 겨울방학 어떻게 보낼까? 아래 글은 27년 동안 교육 분야에서 일 해 온 과정과, 아이 초중고 시기를 모두 보내면서 서울대 합격에 성공한 과정을 근거로 쓴 것입니다.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참고용으로는 의미 있을 것입니다. ​ 초등 4학년 겨울방학은 초등 5학년이 되기 전 겨울방학입니다. 초등학교 6년 과정 중에서 가장 어려운 학년이 초등 5학년이라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5학년이 되면 수학이 많이 어려워지고요. 한국사가 힘들게 합니다. ​ 그래서 윗학년 선행보다 더 중요한 것이 5학년 학습을 제대로 하는 것인데요. 5학년 학습도 제대로 하면서 가능하면 6학년 선행까지도 해야 하는, 많이 공부해야 하는 때가 5학년입니다. 물론 5학년을 지나 6학년과 중학생, 고등학생 때에도 많이 해야 하고요... 1. 수학 ​ 5.. 2021. 12. 24.
[초등홈스쿨링] 초등 3학년 겨울방학 어떻게 보낼까? 아래 글은 아이 초중고 시기를 모두 보면서 느낀 내용입니다. (아이는 목표였던 서울대에 입학했습니다 ^^!) 물론 모든 아이들에게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고요. 일반적인 기준으로 삼은 후 내 아이에게 맞게 적절히 반영하면 좋을 것입니다. ​ 초등 3학년 겨울방학이란.. 곧 4학년이 된다는 뜻입니다. 초등 3학년이 1차 좌절기인 이유는 2학년과 비교해서 갑자기 '학습'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사회랑 과학 과목도 등장하고요. 한자어도 등장하고요. 설명문도 늘어납니다. ​ 이에 비해 4학년이 어려운 이유는, 과목은 똑같은데 '학습'의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내용도 늘고요. 난이도도 높아집니다. 한자어도 더 많이 나오고, 설명문도 더 많아집니다. ​ 그런데... 더 큰 어려움이 등장합니다. 아이가... 덜.. 2021. 12. 23.
[초등홈스쿨링] 왜 하필이면 동지날 팥죽을 먹을까? 절기 음식에 대해 알아볼 때에도 무슨 절기에 어떤 음식을 먹는지 외우려고만 하면 안됩니다. 그럼 금방 잊어먹고요. 사회를 이해하지도 못합니다. 계속 강조하듯이 왜 그 절기에 그 음식을 먹는지를 이해한 다음에 외워야 합니다. 그렇게 공부해야 '사회'를 이해하게 되고요. 배경 지식으로 많이, 오래 남길 수 있습니다. ​ 당연히 시험도 더 잘 볼 수 있고요. 특히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서술형 논술형 주관식 문제 해결 능력이 생깁니다. 교과서 내용 중에서 이런 내용이 있는데요. (옛날에는) 명절이나 절기가 되면 그에 따른 음식을 먹었습니다. 왜 하필이면 동지날 팥죽을 먹었을까요? 동지는 1년 중에서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입니다. 그리고 이 날을 시작으로 낮이 밤보다 점점 더 길어지기 시작.. 2021. 12. 22.
[초등홈스쿨링] 초등 1학년 겨울방학 어떻게 보낼까? 코로나 때문에 아이들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그리고 곧 겨울방학인데요. 초등학교 1학년 겨울방학은 어떻게 보내는 게 좋을까요? 초등홈스쿨링 1학년 겨울방학 잘 보내기에 대해 정리해 봤고요. 제 개인 의견입니다. 참고 사항이고요. 반드시 이렇게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초등 1학년은 겨울방학이 지나면 2학년이 됩니다. 1학년 1년을 경험했기 때문에 학교 생활에 대충 적응은 된 상태이고요. ​ 초등 2학년의 과목은 여전히 국어, 수학, 통합교과서 입니다. 초등 1학년과 똑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 초등 1~2학년은 초등 학습의 기초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본격적인 초등 학습 전에 기초 학습 능력을 훈련하는 시기죠. ​ 그럼 본격적인 초등 학습은 언제부터일까요? 사회와 과학이 시작되는 초등 .. 2021. 12. 2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