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공신 교육/코칭법

[4차 산업혁명] 우리나라의 첨단기술 분야는 괜찮을까? (3)

by 행공신 2022. 4. 9.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의 미래는 괜찮을까요?

 

이와 관련해서 첨단기술 분야에 대해 세 번째 포스팅을 올립니다. 객관적이고 냉철한 현실 분석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생각되서 계속 올려 봅니다.

 

 

혁신기술은 금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연구개발 과정을 거쳐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입니다.

 

그래서 시간, 노력, 비용, 인력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며, 이런 연구개발이 R&D(Research and development)입니다. 즉, 혁신기술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R&D를 잘 해야 한다는 거죠.

 

그리고 우리나라는 2017년에 GDP(국내 총 생산) 대비 R&D(연구개발) 투자율이 세계 1위였습니다. 여기까지는 좋습니다. 그런데...

 

 

 

2018에는 변화가 생겼습니다. 최근 5년 동안 중국의 R&D 투자 규모는 2배 이상 증가했지만 국내 기업의 R&D 투자 증가는 중국의 10분의 1 수준이었고요.

 

글로벌 R&D 500 기업 중에는 미국 기업이 196개, 일본 85개, 중국 33개, 독일 24개, 프랑스 22개, 영국 20개, 대만 15개, 아일랜드 14개, 한국 13개였습니다.

 

글로벌 R&D 500 기업에서 국가별 R&D 비용을 봐도 미국 3716억 달러, 일본 848억 달러, 중국 488억 달러, 한국 262억 달러 순이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262억 달러 중 3분의 1 정도인 99억 달러는 삼성전자의 R&D 투자 금액이었습니다.

 

 

 

치열한 혁신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 중국, 일본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R&D 투자는 전체 금액도 적고, 눈에 띄는 기업도 적고, 투자도 삼성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입니다. 양도 문제지만 더 심각한 것은 R&D의 질입니다.

 

‘단기간 성과 내기에 집착. 한국 R&D의 민낯’ 이 제목은 2019년 7월 기사 제목입니다.

 

주요 선진국의 R&D 성공률은 20~30% 수준이지만 우리나라의 R&D 성공률은 95% 이상입니다. 주요 선진국은 R&D 연구 10개 중에서 2~3개만 성공하고 7~8개는 실패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10개 중 9개 이상 성공할 정도로 성공률이 엄청나게 높습니다.

 

이 성공률만 보면 우리나라의 R&D 성과가 매우 좋아 보입니다. 그런데 왜 질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일까요?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R&D는 도전적인 프로젝트가 적기 때문입니다.

 

 

첨단 기술이란 아무나 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닙니다. 성공하려면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며,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칠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 분야도 물리, 화학 등의 기초 과학 분야 비중이 커야 하고요. 기초 과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는 소재·부품 분야 R&D 투자에 집중해야 합니다.

 

당연히 시간도 많이 걸리고 인력과 비용도 많이 들 수밖에 없으며, 그러면서 많은 실패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합니다. 대신 성공하면 다른 나라에서 쉽게 따라오지 못하면서 세계 경제를 주도할 수 있는 진짜 혁신기술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주요 선진국의 R&D는 성공률이 낮은 것입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R&D는 성공률이 95% 수준이며, 시작하고 나서 1~2년 내에 연구 결과를 보여줘야 하는 R&D도 많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 연구원들은 행정 업무 등 연구 외적인 일도 적지 않은 편입니다.

 

 

 

즉, 우리나라의 R&D는 투자한 비용에 비해 질적 성과는 낮은, 단기성과 위주였던 것입니다.

 

이 현상은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세계 최상위권임에도 불구하고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은 것과 비슷한 현상입니다.

 

참고로 일본은 25개의 노벨상을 받았으며, 2019년에도 요시노 아키라가 노벨화학상을 받았습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은 것이 전부입니다.

 

 

 

이처럼 전망이 어두운 우리나라의 미래사회에서 덧셈, 뺄셈을 빨리 하는 것이 경쟁력의 핵심일까요?

<코로나19 이후의 미래사회 공부법> 책의 Part4에는 미래사회 대비 핵심 능력이 무엇인지를, Part5에는 초등학교 각 학년별 공부 우선 순위가 무엇인지를 정리해 놓았습니다. 현명하게 대처하는 데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