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행공신 교육/공부법193

[공부법] 5세 여름방학 현명하게 보내는 방법 1. 5세 여름은 어떤 시기? ​ 5세는 '나'에서 '주변'으로 관심이 옮겨 가는 시기라 합니다. '왜?' 라는 질문을 시작할 때고요. ​타인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질 때입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 드러나는 정도가 다를 뿐이죠~) ​ 그러면서 동시에 4세 때까지 가지고 있던 '나' 중심도 남아 있는 때입니다. ​한 마디로 '정신 없을' 때죠. ​ 아이가 정신 없으니까 '미운 5살' 이 되는가 봅니다. 그리고 6세, 7세 되면서 점점 더 심해지고요. ^^! (좋은 부모 되기 힘들죠~) 2. 공부? 학습? NO! ​ ​공부? 학습? 그런 생각은 하지 마세요~ ^^ ​그럼 무엇을 해야 할까요? ​ 5세는 본격적인 책 읽기의 워밍업 시기입니다. 그림책에 집중하세요. ​어느 한 영역에 편중되지 마세요. ​ 문학이.. 2022. 6. 24.
[공부법] 초등 1~2학년 때 말하기, 쓰기, 국어문제집 진행 방법 초등학교 1~2학년 시기에 말하기 연습은 2가지를 진행해야 합니다. 하나는 독후활동을 통한 말하기 연습, 다른 하나는 수학 서술형 주관식 문제 풀이 과정 말하기 연습인데요. 이때 중요한 것은, 질문이나 문제가 쉬워야 하고 차츰 차츰 난이도를 높여가야 합니다. 우선 독후활동 말하기는 3가지 유형의 질문이 있습니다. 단답형 질문이 있고요. 인과관계 질문이 있고요. 정답이 없는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에 대해 대답할 때에는 책을 자유롭게 다시 볼 수 있게 합니다. 중요한 것은 ‘정답 맞히기’가 아니라 ‘생각해 보고 표현해 보기’입니다. 따라서 말하기 연습 초기 단계에서는 인과관계 질문을 했을 때 원인 또는 결과가 정확히 생각나지 않을 경우 다시 책을 보면서 정답 부분을 찾아내서 자신의 입으로 말해 보는 연습을 .. 2022. 6. 22.
[초등한자와 초등어휘력] 부모(父母), 자녀(子女) (한자검정능력시험 대비) 초등 한자는 정규 과목이 아닙니다. 하지만 초등 시기 어휘력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 대신, 정규 과목이 아니기 때문에 한자 자체를 많이 알 필요는 없고요. 특히 한자 쓰기를 많이 하는 건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좋은 방법은, 어휘를 배우고 익힐 때 해당 한자의 음과 뜻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 '부모, 자녀' 는 각각 무슨 뜻일까요? '부모'는 '아빠와 엄마'를, '자녀'는 '아들과 딸'을 뜻합니다. 왜 그럴까요? 왜 한자로 '父母, 子女' 라고 쓸까요? ​ 각 한자의 생성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활용해 정리했으며, 이를 통해 한자의 3요소를 의미 있게 이해하고, 어휘력 훈련 효과까지 볼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부모'에서 '부'는 '아버지 부' 이고요. '모'는 '어머니 모' 입니.. 2022. 6. 20.
[공부법] 읽기독립 때 독서의 핵심과 말하기의 중요성 이전 포스팅에서 읽기 능력의 중요성과 읽기 독립의 중요성을 정리했고요. 특히 7세~초등 2학년 때 읽기독립을 위해 다독, 몰입독서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이 시기 읽기 독립 독서의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읽어주기와 혼자 읽기를 병행해야 해요. ▶ 혼자 읽기는 쉬운 책으로 진행해야 해요. ▶ 7세부터는 비문학(사회, 과학 등의 설명문) 비중을 높여야 해요. ▶ 초1 전후로는 문고판으로 글 양 늘리기에 도전해요. ▶ 초2 때에는 독서량이 중요해요. 책을 많이 볼 수 있는 마지막 1년이기도 해요. ▶ 그리고 초3 대비 사회, 과학 책 읽기가 중요해요. ▶ 7세~초2 때 보면 좋은 책 : 우리창작(문학), 아시아창작(문학), 세계창작(문학), 리더십, 사회성, 개념수학, 자연관찰, 원리과학, .. 2022. 6. 15.
[초등한자와 초등어휘력] 七日은 왜 해? 七月은 왜 달? 초등 한자는 정규 과목이 아닙니다. 하지만 초등 시기 어휘력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 대신, 정규 과목이 아니기 때문에 한자 자체를 많이 알 필요는 없고요. 특히 한자 쓰기를 많이 하는 건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좋은 방법은, 어휘를 배우고 익힐 때 해당 한자의 음과 뜻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 '칠일'에 '일'은 '해 일'이고요. '칠월'에서 '월'은 '달 월' 입니다. 왜 각각 '해 일(日)' 자와 '달 월(月)' 자를 사용했을까요? ​ 각 한자의 생성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활용해 정리했으며, 이를 통해 한자의 3요소를 의미 있게 이해하고, 어휘력 훈련 효과까지 볼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칠일'에서 '칠'은 '일곱 칠' 이고요. '일'은 '해 일' 입니다. 그러면.. '칠일'은.. 2022. 6. 13.
[공부법] 초등학교 1~2학년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어? 수학? 초등학교 1~2학년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영어일까요? 아닙니다. 수학일까요? 아닙니다. 이 시기에는 가장 먼저 ‘현재 내 아이의 읽기 능력이 어느 정도이고 읽기 독립은 어느 정도까지 이루었나?’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49개월~7세 시기 전체에서 1순위가 한글 읽기 능력 기르기였다면 이 시기 전체에서 1순위는 ‘한글 읽기 능력 기르기와 한글 읽기 독립 최대한 빨리 이루기’입니다. 전체 1순위가 거의 비슷한데요. 독서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면서 책도 꾸준히 읽어주는 것은 49개월~7세 때와 같지만 이 시기에 달라지는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49개월~7세가 ‘많이 읽어주기’의 시기였다면 초등학교 1~2학년은 혼자 읽는 시간을 차츰 늘려야 하는 시기입니다. 궁극적으로 읽기는 ‘혼자읽기’이기 때.. 2022. 6. 9.
[초등한자와 초등어휘력] 五百, 五千, 五萬 (한자검정능력시험 대비) 초등 한자는 정규 과목이 아닙니다. 하지만 초등 시기 어휘력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 대신, 정규 과목이 아니기 때문에 한자 자체를 많이 알 필요는 없고요. 특히 한자 쓰기를 많이 하는 건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좋은 방법은, 어휘를 배우고 익힐 때 해당 한자의 음과 뜻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 '오백, 오천, 오만' 각 어휘는 무슨 뜻일까요? 그리고 왜 한자로 '五百, 五千, 五萬' 이라고 쓸까요? 각 한자의 생성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활용해 정리했으며, 이를 통해 한자의 3요소를 의미 있게 이해하고, 어휘력 훈련 효과까지 볼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오백'에서 '오'은 '다섯 오' 이고요. '백'은 '일백 백' 입니다. 즉 '오백'은'백이 다섯' 이라는 뜻입니다. 백 개짜리가 다.. 2022. 6. 6.
[공부법] 5세~7세 국어, 독서는 이렇게! 1세~12세(초5) 때 국어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눌 수 있으며, 6세까지는 노출에 초점을 맞추고, 7세부터는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기준으로 보면 49개월~7세 시기는 노출에 초점을 맞추다가 7세 전후로 학습을 진행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그리고 48개월까지를 어떻게 보냈느냐에 의해 같은 나이라도 아이마다 국어 능력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시기부터는 옆집 아이보다 내 아이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옆집 아이가 어떤 책을 읽었고 어떤 한글 프로그램을 하는지 등은 옆집 아이 이야기일 뿐입니다. 모두 참고만 하면서 내 아이의 현 국어 능력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일단 이 시기에 국어에서 1순위는 듣기 능력, 읽기 능력, 독서 습관을 집중적으로 기르는.. 2022. 6.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