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행공신 교육/독서 문해력 논술95 [초등독서논술] 배경지식의 함정에서 빠져나오기 [초등독서논술] 배경지식의 함정에서 빠져나오기 수학에서 연산에 대해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 것처럼 독서에서는 배경 지식에 대해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면서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될 가능성이 낮아지는데요. 배경 지식에 대한 오해는 무엇일까요? '도전 골든벨'은 많이 알려진 TV 프로그램입니다. 아이와 함께 '도전 골든벨'을 보면 "저 아이는 어쩜 저리 똑똑할까?" 중얼거리다 옆에 있는 아이를 보고 한숨을 쉬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도전 골든벨'에서 아이들에게 묻는 질문은 거의 대부분 단답형 주관식이었습니다.무언가에 대해 설명을 해 주고 그것이 무엇인지 이름(명칭)을 묻는 문제들이었습니다. 예전에는 학교 시험에서도 무언가의 이름(명칭)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고요. 여전히 TV .. 2024. 9. 18. [초등독서논술] 학습만화 관리는 이렇게! [초등독서논술] 학습만화 관리는 이렇게! 건강 관리를 잘 하려면 몸에 좋은 음식을 먹는 것도 좋지만 몸에 해로운 음식을 먹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르려면 그 능력을 기르는 데 방해가 되는 것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바람직한 학습 환경이 만들어 지니까요. 환경만 잘 갖춰져도 60% 이상 완성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방해되는 것으로 TV와 스마트폰이 있었죠. 이번에는 학습 만화입니다. 물론 학습 만화도 장단점이 있고요. 장점을 잘 살리면서 단점을 피하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거죠. (학습 만화는 나빠요 라고 말하는 건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안타까운 현상] 도서관에 가 보면 10명 중 9명이 학습 만화를 보고 있습니다. [부작용] 대화체 문장 읽.. 2024. 9. 16. [초등독서논술] 이상한 교과서 연계 독서 사례 [초등독서논술] 이상한 교과서 연계 독서 사례 아이들이 많이 보는 학습만화 중에 Why 시리즈가 있습니다. 과학 영역 학습만화로 유명한 책이고요. 학습 만화의 장점을 잘 살린 책으로 보입니다. 아이 독서에서 학습만화만 보는 것은 부작용의 위험이 있습니다. 대신 그림책과 글책도 잘 보면서 학습만화를 보는 건 괜찮고요. 이때 잘 만든 학습만화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Why 시리즈도 적절히 활용하기만 하면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만화 중 하나로 생각되며, 적절한 활용법 중 하나는 교과 연계 독서입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 과학 교과서 내용을 다룬 Why 시리즈를 보는 건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를 교과 연계 독서라고 부릅니다. 물론 Why 시리즈 등의 책을 볼 때 .. 2024. 9. 9. [초등독서논술] 초등 2~4학년 때 사회, 역사책 많이 읽기 [초등독서논술] 초등 2~4학년 때 사회, 역사책 많이 읽기 지금은 대학교 4학년인 아이, 초등학교 2학년 때 학교 시험 성적은 올백이었습니다. 국어, 사회(한국사), 과학 100점이었고요. 수학은 수시로 평가했는데, 1학기 3회 시험 모두 100점이었습니다. 그런데, 초등 2학년까지 성적은 대부분 잘 나옵니다. 그러다가... 1차 좌절기가 오죠. 초등 3학년 때고요. 수학과 사회를 어려워합니다. 2차 좌절기는 초등 5학년 때입니다. 수학과 한국사(사회)를 어려워합니다. 아이 학교도 한국사(사회) 평균이 가장 낮았습니다. 평균 75점이라는 것은, 한국사 점수가 75점 아래인 아이들이 절반 이상이라는 거죠. 왜 그럴까요? 사회랑 한국사라는 과목 자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고려 시대 교과서 내용입니다.. 2024. 9. 6. [초등독서논술] 수학책 추천 - 레오와 함께 배우는 STEAM [초등독서논술] 수학책 추천 - 레오와 함께 배우는 STEAM 이 책은 '개념 수학 + 융합 수학' 책으로 보입니다.개념 설명이 잘 되어 있으면서~ 다양한 영역과 연계해서 사례를 보여 주고 있거든요~발간한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난 듯 하지만 그래도 잘 만든 수학책으로 보여 추천합니다~ ^^ 시리즈 중 책 한 권의 이미지예요. 2024. 9. 5. [초등독서논술] 독서의 부작용! 그리고 책 잘 보게 만들기! [초등독서논술] 독서의 부작용! 그리고 책 잘 보게 만들기! 과유불급(過 : 지나칠 과 猶 : 오히려유 不 : 아닐 불 及 : 미칠 급)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 지나침은 부족함과 마찬가지이다. 《논어》에 나오는 내용이라고 하는데요. 공자께서 하신 말씀~ 지나치게 많이 하면 좋지 않다는 거죠. 지나치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적절한 상태를 가리켜 중용(中庸)이라고 하는데 공자께서는 중용을 매우 소중한 가치로 여겼다고 합니다. 모든 것이, 지나치게 많이 하면 좋지 않죠. 로또 당첨된 분들 대부분이 불행해지는 것도 그렇고... 몸에 좋다는 음식 많이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것도 그렇고... 독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책만 많이 읽은 아이들의 부작용 사례도 있었고요... 그럼 어쩌라고?.. 2024. 9. 3. [초등독서논술] '이름'보다는 '이유'가 더 중요해요~ [초등독서논술] '이름'보다는 '이유'가 더 중요해요~ 예전에 친구 가족과 함께 강원도로 여행을 갔었습니다. 굴에 들어갔는데요.초딩 아이에게 뭔가 알려주고 싶은 맘이 생긴 친구가동굴 안에서 아이에게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저기 위쪽에 고드름처럼 생긴 돌 모양을 뭐라고 하게?""?" "그럼 저기 아래 바닥에서 뿔처럼 솓아나온 돌 모양은 뭐라 하게?""??" "휴... 그럼 저기 위와 아래가 길죽하게 붙어 있는 기둥 모양은 뭐라고 하게?""???" 첫 번째 답은 종류석 입니다.두 번째 답은 석순 입니다.세 번째 답은 석주 입니다. 이처럼 무언가의 명칭, 이름, 단어를 핵심으로 생각하는 것은 옛날 방식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는 명칭이나 이름을 정확히 기억해야 하지만요즘은 '왜'가 더 중요해 졌.. 2024. 8. 28. [독서논술] 아이가 문학책을 제대로 읽게 하려면? [독서논술] 아이가 문학책을 제대로 읽게 하려면?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모든 학습의 기본은 배우고 익히는 것입니다. 학습 = 배울 학(學) + 익힐 습(習) 마찬가지로 문학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도 학습해야 합니다. 먼저 문학책 제대로 읽는 방법을 배우고 그 다음 문학책 제대로 읽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어떤 방법으로 배우는 것이 좋을까? 첫 번째 방법은 설명을 듣는 것입니다. (강의식) 학교나 학원에서 선생님의 강의를 들어면서 배우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유아, 유치, 초등 저학년 아이들에게 읽기 전략을 쉽게 설명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 방법은 고학년 아이들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스스로 배우는 것입니다. (자기주도 학습) 관련된 책을 읽거나 인터넷 등에서 자료를 찾아 읽으면서 스스.. 2024. 8. 27.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