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3~4학년

[초등과학 4-2] 4단원 - 화성암이란? 현무암이란? 화강암이란? 지진이란?

by 행공신 2024. 11. 3.
728x90
반응형
SMALL

[초등과학 4-2] 4단원 - 화성암이란? 현무암이란? 화강암이란? 지진이란?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4단원은 '4. 화산과 지진' 이고요.

<초등과학 4-2>

1. 식물의 생활

2. 물의 상태 변화

3. 그림자와 거울

4. 화산과 지진

5. 물의 여행

 

'4. 화산과 지진' 단원에 '화성암, 현무암, 화강암' 등의 암석이 나오는데요.

과학에서 암석 공부는, 나름 열심히 암기하지만, 늘 헷갈렸던 기억만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잘 이해되도록 정리했습니다.

학교 수업 전에 예습용 읽기자료로 활용해 보세요.

 

1. 화성암이란?

 

 

'화성암'이란 무엇일까요?

화성암은 한자어인데요.

한자의 음과 뜻을 보면 화성암이 무엇인지를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좀 될까요?

 

 

 

반응형

 

 

* 화성암(火成巖) 불 화(火) + 이룰 성(成) + 바위 암(巖)

화성암의 '화' ⇒ 불 화 ⇒ 화산 ⇒ 마그마

화성암의 '성' ⇒ 이룰 성 ⇒ 이루어짐, 만들어짐

화성암의 '암' ⇒ 바위 암 ⇒ 돌(암석)

즉, 화성암은 화산(마그마) 때문에 만들어진 돌(암석)인데요.

교과서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마그마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암석을 화성암이라고 합니다.

 

왜 '화산'이라고 하지 않고 '마그마'라고 했을까요?

왜냐하면, 화산은 마그마 때문에 생기거든요.

마그마 : 땅속 깊은 곳에서 암석이 녹은 것을 마그마라고 합니다.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져 생긴 암석이 화성암이고, 땅 위로 분출하여 형성된 것이 화산입니다.

그리고 화성암 중 대표적인 암석은 현무암화강암입니다.

 

 

 

2. 현무암이란?

 

현무암이란 무엇일까요?

* 현무암(玄武巖) 검을 현(玄) + 병사 무(武) + 바위 암(巖)

현무암의 '현' ⇒ 검을 현 ⇒ 검은 색 암석? ⇒ 실제로 색깔이 어두움

 

현무암은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에서 식어서 만들어집니다.

색깔이 어둡고 알갱이의 크기가 작습니다.

 

현무암은 검은색이나 검은 회색을 띠고 기둥 모양인 것이 많으며, 입자가 미세하고 치밀하여 바탕이 단단합니다. 그래서 건축 재료로 많이 사용합니다.

 

 

 

 

3. 화강암이란?

 

화강암이란 무엇일까요?

* 화강암(花崗巖) 꽃 화(花) + 언덕 강(崗) + 바위 암(巖)

화강암의 화 ⇒ 꽃 화 ⇒ 꽃처럼 예쁜 모습? ⇒ 꽃처럼 색깔이 밝음

 

화강암은 색깔이 밝고 알갱이의 크기가 큽니다.

화강암은 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식어서 만들어집니다.

 

​화강암은 단단하고 아름다워서 건축이나 비석 재료 등으로 사용합니다.

 

 

 

 

4. 지진

 

지진은 무엇일까요? 왜 발생하는 걸까요?

* 지진(地震) 땅 지(地) + 벼락 진(震) ⇒ 땅 속에 벼락이 친 것처럼 땅이 흔들린다?

 

땅은 지구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오랫동안 받으면 휘어지거나 끊어지기도 합니다.

땅이 끊어지면서 흔들리는 것을 지진이라고 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건물과 도로가 무너지는 등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지진은 화산 활동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초등 과학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고 질문하신다면 이렇게 답변드립니다.

"우선 교과서부터 제대로 공부해야 합니다.

문제집이나 참고서, 학습지 활용은 그 다음입니다.

교과서 공부만 제대로 하면 80% 이상이 해결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