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초등수학공부법122 [초등수학 홈스쿨링 2-1] 전국 기준 상위권 문제 사례(1) 수학의 핵심은 연산이 아닙니다. 핵심은 문제해결력이고요. 결국 문제해결력에서 승부가 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시험에서 문제해결력이란, 서술형 주관식 문장제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입니다. 단, 초등학교 때 평가 기준은 학교 시험이 아닙니다. 전국 기준으로 내 아이의 문제해결력을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래 문제는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수학 문제 사례입니다. 아래 문제를 풀고, 이유까지 설명하면 전국 기준 상위 10% 이내일 가능성이 높고요. 답은 구하지만 설명을 잘 못하면 10% 이내일 가능성이 높지 않고요. 문제는 대충 이해하지만 답을 구하지 못하면 상위권은 아닐 수 있고요. 문제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면 중상위권도 아닐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문제 하나만으로 확정지어 말 .. 2021. 7. 9. [초등수학 홈스쿨링 1-1] 전국 기준 중위권 문제 사례(2) 많은 아이들이 수학을 어려워합니다. 근데 의외로 수학을 잘 하는 방법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우선 초등 때 수학을 잘 하게 해야 합니다. 그러면 중등과 고등 때 계속 잘 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초등 때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과 원리 학습을 제대로 해야 합니다. 우리 부모과 개념과 원리 학습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막연하게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그리 복잡하거나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다양한 유형과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를 충분히 풀어보면서, 수학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탄탄하게 길러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내 아이의 실력에 맞는 난이도의 문제집을 선택하는 것이고요. 여기까지만 잘 하면 전국 기준 중상급 정도의 실력은 누구나 갖출 수 있습니다. 바로 위에서 내 아이의.. 2021. 7. 8. [초등수학 홈스쿨링 4-1] 전국 기준 기본 문제, 중위권 문제 사례 초등학교 4학년은... 아이의 수학 실력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때입니다. 빠르면 4학년 겨울방학 때부터, 일반적으로는 5학년 때부터 수학 선행을 시작하는데요. 4학년 때 수학을 전국 기준으로 잘 한 아이들이, 이후에 수학 선행도 의미 있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4학년 수학은, 실전 수학 느낌이 강하게 드는데요. 이 냉혹한(?) 현실과 달리 '우물 안 수학'의 경우가 많은 듯 합니다. 내 아이 수학 공부가 '우물 안 수학' 이 되지 않으려면 3가지가 필요합니다. 첫째, 수학 공부의 난이도를 전국 기준으로 보기 둘째, 현재 아이의 수학 실력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셋째, 개념부터 실력과 심화까지 제대로 공부하기 그리고 아래 문제는 초등 4학년 수학 문제이고요. 전국 기준으로 봤을 때.. 2021. 7. 7. [초등 공부법] 중3 전교1등이 말 하는 '초등 연산 이렇게!' 1. 연산 얼마나 해야 할까? 올해(2021년) 서울대에 입학한 아이가 중3일 때 나눈 대화입니다. (중학교 3학년 때 고등 미적분까지 심화 선행 끝낸 상태였습니다~) [아빠] "딸~ 초등 때 배운 분수나 소수 연산이 중고등 때도 나와?" [딸램] "응~ 나와~" [아빠] "그럼 초등 때 연산 못하면 중고등 때 힘들겠네?" [딸램] "그렇지~ 연산을 못하거나 연산에서 헤매면 안되지..." [아빠] "초등 연산이 중고등 때는 어떤 식으로 쓰이는 거야?" [딸램] "이런 문제야~" 그래서 초등 때 연산을 어느 정도나 하면 좋을지도 물어봤는데요. 딸램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연산을 아예 못하면 당연히 안되지. 근데 초등 때 굳이 많이 할 필요는 없어. 왜냐면 중1이나 고1 때 기초 단계에서.. 2021. 7. 6. [초등수학 홈스쿨링 3-1] 전국 기준 중위권 문제 사례 계속 반복해서 말씀 드립니다. 수학은 연산이 아니라 문제 해결력으로 승부가 나고요. 우리나라에서 문제 해결력이란, 내신 서술형 주관식 문장제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입니다. 내신이기 때문에 학교 시험 문제이고요. 문장제 문제이기 때문에 문제의 길이가 길고요. 서술형 주관식이기 때문에 문제 풀이 과정도 써야 합니다. 즉, 사고력 수학이 1순위가 아니라 학교 시험이 1순위입니다. 단, 고등학교 때 학교 시험이고요. 초등 때에는 내신을 학교가 아니라 전국 기준으로 봐야 합니다. 그래서 초등 때 실력의 기준은 학교 시험도 아니고 사고력 수학도 아니고, 내신 문제집의 난이도입니다. 아래와 같은 문제들인 거죠. [문제 1] 색 테이프로 한 변의 길이가 16cm인 정사각형을 1개 만들었습니다. 이 색 테이.. 2021. 7. 2. [초등수학 홈스쿨링] 7세, 초1, 초2 연산 이것만은 꼭! 유치~초등 연산 관련해서... 반복해서 외치고 또 외치고 또 외치는 것이 있습니다. "연산 빨리 하는 게 중요하지 않아요! 느리지 않게 할 수 있으면 그걸로 충분해요! 그러니 이미 할 수 있는 단계의 연산 연습은 더 하지 마세요! 수학을 싫어하게 만들 뿐이에요!" 인데요. 그럼 연산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몇 가지가 있고요. 몇 가지 중에 특히 더 중요한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수 개념과 자릿값의 원리를 적용해서 계산 과정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구체적인 예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7 + 8 = 15 입니다. 왜 15 일까요? 우선 수 개념과 연산 기호 개념부터 정리해 보면요. ● 7은 일이 7개 ● 8은 일이 8개 ● + 는 + 앞에 있는 것.. 2021. 7. 1. [초등수학 홈스쿨링 1-1] 전국 기준 중위권 문제 사례(1) 수학의 승부처는 연산이 아니라 문제해결력이고요. 우리나라 시험에서 문제해결력은 사고력 수학이 아니라 내신 수학입니다. 그래서 수학 시험을 잘 보려면 내신 문제해결력을 상위권까지 길러야 하는데요. 이때 '상위권' 은 아이가 다니는 학교 기준이 아니라 전국 기준입니다. 즉, 초등학교 때 학교 시험 대비는 부수적인 거고요. 전국 기준으로 수학 실력을 탄탄하게 쌓아야 합니다. 그리고 실력을 탄탄하게 쌓는다는 것은, 상위권 수준의 심화 문제만 많이 푸는 것이 아닙니다. 기초 중 기초인 개념 학습부터 제대로! ⇒ 교과서 학습 제대로! 개념 또는 응용 내신 문제집 제대로! ⇒ 전국 기준 하 또는 중 내신 심화 문제집 제대로! ⇒ 전국 기준 난이도 상 위와 같이 단계별로 제대로 차근차근 학습해야 하는데요.. 2021. 6. 30. [초등수학 홈스쿨링 2-1] 전국 기준 중위권 문제 사례 우리나라에서 수학 성적 좋은 아이는 어떤 아이들일까요? 연산 잘 하는 아이? 아닙니다. 연산은 할 줄 알면 됩니다. 사고력 수학 잘 하는 아이? 아닙니다. 사고력 수학으로 고등과 대입 성적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수학 성적은 내신과 수능이 좌우하고요. 수능 수학도 내신 수학 잘 하는 아이들이 잘 합니다. 그리고 내신 수학에서 핵심은 연산이 아니라 내신 문제해결력이고요. 결국 내신 문제해결력에서 승부가 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시험에서 내신 문제해결력이란, 내신 서술형 주관식 문장제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단, 초등학교 때 평가 기준은 학교 시험이 아닙니다. 전국 기준으로 내 아이의 문제해결력을 평가해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수학 공부 방향부터 틀린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그러.. 2021. 6. 25.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