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5~6학년1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8. 중국 수나라와 고구려 전쟁 (한능검) 1. 수나라의 고구려 침략 : 1차전 승자는 누구? 중국은 유비, 관우, 장비가 활약하던 시대 이후에도 300년 동안이나 나라의 힘을 하나로 모으지 못하고 분열되어 있었어요. 그러다 589년에 중국 대륙을 통일한 나라가 등장합니다. 바로 '수' 나라예요. 아래 지도를 보세요. 초록색 부분이 수나라가 처음 세워졌을 때 땅이에요. 고구려 땅과 비교해 보세요. 대충 봐도 10배 정도는 커 보이죠. 고구려 입장에서는 걱정이 될 수밖에 없겠죠. 그런데! 우리 고구려가 어떤 나라였나요? 무덤의 벽에 사냥하는 그림을 그릴 정도로 진취적이고 강인한 분들이었거든요. ^.^ * 강인 ⇒ 강할 강(強) + 질길 인(靭) / 강하면서 쉽게 포기하지도 않는 것! * 진취 ⇒ 나아갈 진(進) + 가질 취(取) / 앞으로 나아가 .. 2021. 12. 28.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5. 직육면체' 단원 교과서의 핵심은 무엇?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의 5번째 단원은 '5. 직육면체' 인데요. 이 단원에 나오는 개념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개도는 좀 어렵게 느끼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전개도는, 직접 해 보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고요. 다행히 완벽하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열심히 하되 완벽에 너무 많은 힘을 빼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일단 5학년 2학기 수학 목차는 이렇습니다. ​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 그리고 '5. 직육면체'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역시나 개념이 가장 먼저 나옵니다. '직육면체, 면, 모서리, 꼭짓점, 정육면체, 밑면, 옆면' 각각의 개념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데요. 모두 쉬운 개념입니다.. 2021. 12. 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7. 중국 초한지와 삼국지 (한능검) 1. 중국은 어디에 있을까? 얼마나 클까? 아래 지도에서 보라색 부분이 중국이에요. 우리나라도 찾아보세요. 지도의 오른쪽 중간에 우리나라가 있죠. 땅 크기를 비교해 보세요. 중국 영토가 훨씬 크죠? ^^!! 현재 기준으로 본 중국 영토인데요. 더 작았을 때도 있고, 더 컸을 때도 있어요. 어쨌든 영토가 아주 넓은 나라였답니다. 2. 중국의 만리장성은 언제 만들어진 걸까? 아래 연표를 보세요. 중국의 만리장성은 우리나라에 고조선이 세워져 있을 때 만들어진 거예요. 중국도 우리나라처럼 여러 나라들이 세워졌다 사라졌는데요. 만리장성을 만든 나라는 '진' 이라는 나라였어요. 왕은 '시황제' 라는 사람이었고요. 중국 진나라의 시황제는 자신을 '왕'이라 부르게 하지 않고 '황제'라고 부르게 했어요. '왕'보다 더 .. 2021. 12. 13.
[초등수학 핵심문제] 5-2 '4. 소수의 곱셈' 이 문제는 풀어야 해요~ 초등학교 5학년은 수학 선행 시작을 결정해야 하는 학년입니다. 요즘 수학 선행이 초등 2학년까지 내려온 지역도 있는데요. ​ 초등 2학년 때부터 제대로 된 수학 선행을 할 수 있는 아이들은 진짜 극소수이고요. 개념이나 기초 수준의 선행을 할 바에는 자기 학년 문제해결력을 탄탄하게 다지는 것이 더 우선순위입니다. ​ 그에 비해 초등 5학년은, 가급적 수학 선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은 학년입니다. 물론 이 때에도 제대로 된 선행을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일단 인문계열이냐 이공계열이냐와 함께 특목자사고냐 일반고냐에 대한 방향을 정한 후 그에 맞는 난이도로 선행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그리고 그에 대한 판단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학년인 5학년 수학을 어느 수준까지 해내는지이고요. 이를 확인하려면.. 2021. 12.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6. 삼국의 문화(5) - 신라와 가야 고분 (한능검) 1. 신라의 고분 - 여러 고분이 함께 모여 있어요! 이제 신라 차례네요.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 이름은 무엇일까요? 아래 그림이 힌트예요. ^^ 무엇이 그려져 있나요? 말처럼 보이죠. 말의 다리 쪽에 그린 건 뭘까요? 물 같기도 하고 구름 같기도 하고요... 저는 하늘을 나는 말로 보여요. 다른 사람들도 똑같이 생각했나 봐요. 이 그림의 이름은 '천마도'랍니다. '하늘을 나는 말 그림' 이란 뜻이죠. * 천마도 ⇒ 하늘 천(天) + 말 마(馬) + 그림 도(圖) 그러면! 이 그림이 발견된 무덤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무용 그림이 발견된 고구려 무덤의 이름은 '무용총'이었어요. 그러면~ 천마 그림이 발견된 신라 무덤의 이름은! 천마총! ^.^ 신라는 처음에 무덤을 만들 때 고구려나 백제와는 다르게 만들었어요.. 2021. 12. 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5. 삼국의 문화(4) - 고구려와 백제 고분 (한능검) 1. 고구려의 고분과 벽화를 보니~ 고구려는 진취적이고 강인해요! 아래 그림은 고구려의 고분인 '장군총'을 그린 거예요. 시체를 넣는 관을 '널'이라고 불렀잖아요. 그러면 '널방'은 '널(관)을 넣어 두는 방' 이고요. '널길'은 '널방으로 가는 길'이겠죠. (아~~~ 쉽다~ ^^) 고구려 사람들은 처음에는 무덤을 이런 식으로 만들었어요. (고구려 초기 무덤인 장군총) 고구려 사람들은 처음에는 위 장군총과 같은 방법으로 무덤을 만들다가... 나중에는 돌로 방을 만들고 그 위를 흙으로 덮어서 무덤을 만들었어요. (너무 힘들어서 그랬을까요? ^^!!) 그리고 돌로 만든 방의 벽과 천장에 벽화를 그렸답니다. * 벽화 ⇒ 벽 벽(壁) + 그림 화(畫) / 벽에 그린 그림 위 고분의 이름은 '무용총'이에요. 위 .. 2021. 11.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34. 삼국의 문화(3) - 귀족도 차별한 신라, 사냥을 즐긴 고구려 (한능검) 1. 신라는 같은 귀족 간에도 신분 차별이 심했다! 모든 귀족이 똑같지는 않았어요. 심지어 신라에서는 귀족 안에서도 신분 차이가 있었답니다. 신분이 높은 귀족과 신분이 낮은 귀족 간에는 어떤 차별이 있었을까요? 신라의 귀족은 고구려나 백제에 비해 신분의 차별이 심했어요. 우선 옷 색깔이 달랐어요. 옷 색깔만 봐도 저 귀족의 신분이 높은지 낮은지를 금방 알 수 있었고요. 집 크기와 방 크기, 담장의 높이도 마음대로 할 수 없었어요. 신분이 낮은 귀족일수록 집을 작게 지어야 했고요. 담장 높이도 낮게 해야 했어요. 수레의 크기도 달랐고요. 그리고 가질 수 있는 말의 수도 정해져 있었어요. 신분이 가장 높은 귀족은 말을 얼마든지 가질 수 있었지만... 어떤 귀족은 다섯 마리까지만 가질 수 있었고요. 어떤 귀족.. 2021. 11. 22.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4. 소수의 곱셈 - 연산 말고 문제해결력이 핵심!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의 4번째 단원은 '4. 소수의 곱셈' 인데요. 이 단원에서 핵심은 연산이 아니라 내신 문제해결력입니다. 물론 느리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을 정도만큼은 연산 연습을 해야 합니다. 다만, 그 정도로 연산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이 단원 공부를 잘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몇 번 강조했지만, 고등 수학에서 소수 곱셈은 거의 나오지 않고요. 나오더라도 간단한 수준으로만 나옵니다. 일단 5학년 2학기 수학 목차는 이렇습니다.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2. 분수의 곱셈 3. 합동과 대칭 4. 소수의 곱셈 5. 직육면체 6. 평균과 가능성 그리고 '4. 소수의 곱셈' 단원의 교과서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 (소수) × (자연수) 0.2 × 6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해 .. 2021. 11. 1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