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5~6학년1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1 삼국의 기초(3) - 고구려의 불상(한능검) 1. 고구려의 불상 -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백제, 고구려, 신라 모두 불교를 받아들여 왕의 힘을 강하게 만들었어요. 불교를 받아들여 모든 백성들이 새로운 종교인 불교를 믿게 하면, 이런 저런 신들에게 제사를 드리던 귀족들의 힘이 약해지죠. 그러면 자연스럽게 왕의 힘이 강해지니까요. 백제, 고구려, 신라 세 나라는 모든 백성들이 불교를 믿게 하려고 곳곳에 절, 탑, 불상 등을 만들었어요. 불상은 부처님의 모습을 담은 상이에요. * 불상 ⇒ 부처 불(佛) + 모양 상(像) 그리고 고구려의 대표적인 불상이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이에요. 위 불상은 고구려에서 만든 불상이에요. 이름은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이고요. 이름이 어렵죠? 이름 뜯어보기를 하면 많이 쉬워진답니다. ^.^ ----.. 2021. 9. 3.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2단원 분수의 곱셈' 핵심은 무엇?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2단원은 '2. 분수의 곱셈' 인데요. 이 단원 공부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일단, 분수의 곱셈은, 계산 방법은 무지 쉽습니다. 분모끼리 곱하고 분자끼리 곱하면 되는데요. 이 요령만 기억하고 무조건 적용해서 계산하는 공부는 옛날 방식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입니다. 물론 이 단원 교과서 공부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 요령을 익혀야 하지만, 그건 마지막 과정이고요. 교과서 내용을 제대로 하나 하나 이해해 보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이렇게요~ 아래 내용이 이 단원 교과서 내용의 앞부분입니다. 9분의 5 곱하기 6 인데요. 9분의 5가 6번 있다는 거죠. 2분의 1이 6번 있다면, 2분의 6입니다. 9분의 5가 6번 있다는 것은, 9분의 30이라는 거고요. 3으로 약분해서 3분의 10이 됩.. 2021. 8. 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0 삼국의 기초(2) - 불교로 왕권 강화(한능검) 1. 율령은 만들었고, 또 만들어야 하는 게 있느냐? 삼국의 기초 다지는 이야기는 계속 됩니다. ^.^ ----------------------------------------- [왕] "와! 대박! 율령을 완성했다. 신하야 진짜 수고 많았다. 휴가 보내줄까?" [신하] "T.T 저도 가고 싶어요. 근데 또 있어요... T.T" [왕] "또 있어? 나라를 세우는 것도 힘들지만 튼튼하게 만드는 건 더 힘든 일이구나... 뭔데?" [신하] "불교를 꼭 받아들여야 해요... (힘 없는 목소리로~)" [왕] "불교? 받아들이면 되잖아. 근데 왜 꼭 불교야? 그리고 목소리에 왜 힘이 없어?" [신하] "우선, 불교를 받아들이면 백성들이 왕을 부처님이라 생각하고 잘 따르게 되는데요..." [왕] "오~ 그래! 좋네.. 2021. 8.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9 삼국의 기초(1) - 율령 반포(한능검) 1. 내가 새 나라의 왕이다! 왕이라고! 아래 이야기는 신라를 배경으로 해서 지어낸 이야기입니다. (근데... 실제로 이랬을 수도 있죠~ ^^!) ----------------------------------------- [왕] "드디어 나라를 세웠다. 내가 왕이 되었구나. 아~ 기쁘다. 이제 나라를 어떻게 다스릴지 신하랑 의논해야지. 신하야~~~" [신하] "네~ 부르셨어요?" [왕] "내가 불렀으니까 네가 왔지... 내가 왕이잖아. 이제 모두 내 말을 잘 듣겠지?" [신하]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아니요!" [왕] "뭐! 내가 왕인데 내 말을 잘 듣지 않을꺼라고? 왜!!!" [신하] "나라가 나라 같아야 말을 잘 듣죠. 입장 바꿔 생각해 보세요. 어느 날 갑자기 '내가 왕이다. 내 말을 들어라' .. 2021. 8. 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8 삼국의 건국(4) - 가야 건국 (한능검) 1. 가야의 건국 이야기 마지막으로 '가야'를 세운 여섯 왕의 특별한 이야기입니다. (왕이 여섯 명이라니... 시작부터 이상하네요~ ^.^) 어느 날 하늘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왔어요. "여기에 사람이 있는가? 하늘이 내게 이곳에 나라를 세워 왕이 되라고 말씀하셨다!" 하늘에서 나는 소리를 들은 마을 사람들이 모여 들었어요. 소리는 계속 이어졌어요. "너희들은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그러지 않으면 구워 먹겠다.' 라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거라! 그러면 너희를 다스릴 왕을 맞게 될 것이다!" 왕을 맞게 된다는 소리에 마을 사람들은 나무 막대기로 땅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어요. 그러자 하늘에서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빛 상자가 내려왔어요. 상자에는 여섯 개의 황금색 알이 있었답니다.. 2021. 8. 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7 삼국의 건국(3) - 신라 건국 (한능검) 1. 신라의 건국 이야기 이번에는 '신라'를 세운 왕의 특별한 이야기에요. 옛날에 여섯 마을이 함께 모여 살고 있었어요. 왕은 없었고요. 각 마을마다 어른 한 분이 마을을 이끌었어요. 마을을 이끈 어른을 촌장이라고 불렀고요. * 촌장 ⇒ 마을 촌(村) + 어른 장(長) 마을이 여섯이어서 촌장도 여섯 명이었죠. ^.^ 어느 날 여섯 촌장들이 모두 모였어요. 걱정거리가 있었거든요. 왕 없이 마을을 다스리니까 백성들이 놀려고만 하는 거에요. 그래서 왕이 될만한 사람을 찾아 나라도 세우고 도읍도 정하기로 했어요. 그때 번개와 같은 이상한 빛이 땅을 비추는 것이었어요. 빛이 비춘 곳은 '나정'이라는 우물가였어요. 여섯 촌장은 그곳에서 흰말과 커다란 알을 발견했어요 사람들이 다가가자 흰말은 하늘로 올라갔어요. 그리.. 2021. 8. 19.
[초등수학 홈스쿨링 5-2] '1단원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핵심은 무엇? 올해(2021년) 기준으로 초등학생들은 2022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변화에 모두 적용되는 학년입니다. 그리고 2022 개정교육과정의 핵심 중 하나가 '과목별 서술형 논술형 확대' 입니다. 그래서 수학도 읽고, 이해하고, 설명하고, 정리해서 쓰는 훈련을 충분히 해야 하는데요. 그 출발점이 바로 개념 공부 제대로와 교과서 공부 제대로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 1단원은 '1.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이고요.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상, 이하, 초과, 미만' 이 나오는데요. 포함하나 포함하지 않나로 헷갈렸던 개념들입니다. 어떻게 하면 헷갈리지 않게 개념 공부를 할 수 있을까요? ​ 가장 좋은 방법은 아래 내용을 아이가 직접 읽고 '아~ 이런 의미구나!' 라고 깨우치는 것입니다. 그러면 자연.. 2021. 8. 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6 삼국의 건국(2) - 백제 건국 (한능검) 1. 백제의 건국 이야기 (주몽의 아들도 나라를 세우다!) 이번에는 '백제'를 세운 왕의 특별한 이야기를 볼까요?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은 '부여'라는 나라에서 태어나고 자랐어요. 부여에서 결혼도 했고요. 아들도 낳았어요. 주몽이 부여에서 낳은 아들의 이름은 '유리'에요. 주몽이 부여 왕자들을 피해 길을 떠날 때 아내와 아들 유리는 부여에 남겨 두어야 했어요. 떠나기 전에 검을 두 조각으로 부러뜨린 후 한 조각은 아내에게 주었어요. 나중에 유리가 크면 남겨 둔 검 조각을 가지고 자신을 찾으라고 한 거에요. 그런 후 졸본으로 내려와 고구려를 건국했어요. 고구려를 세운 주몽은 졸본에서 다른 여자와 결혼도 했어요. 왕이 되었으니 나라를 물려줄 아들을 낳아야 했을 거에요. 주몽은 졸본에서 고구려의 왕이 된 후 아.. 2021. 8. 1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