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초등한국사공부법5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6 삼국의 전성기(2) - 백제의 근초고왕 (한능검) 1.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근초고왕 346년!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근초고왕이 등장하면서! 백제와 고구려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게 됩니다! -------------------------------------------------------------- ⊙ 북쪽 선수 : 고구려 고국원왕과 그의 병사들 ⊙ 남쪽 선수 :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근초고왕과 그의 병사들 ⊙ 전투 장소 : '치양'이라는 곳. ⊙ 먼저 공격한 선수 : 고구려 고국원왕이 먼저 공격 ⊙ 치양을 공격한 이유 : '치양'이라는 곳이 한강에 드나드는 배의 출입을 막을 수 있어서, 치양을 차지해 백제가 중국과 교류하는 것을 막으려 함 ⊙ 승자(이긴 선수) : 백제 근초고왕이 승리함 ⊙ 전투 장소 : 평양성 (고구려의 도읍) ⊙ 먼저 공격한.. 2021. 10.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5 삼국의 전성기(1) - 백제의 전성기 (한능검) 전성기란 '나라의 힘이 가장 강할 때' 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백제, 고구려, 신라 각 나라마다 힘이 가장 강할 때(전성기)가 있었습니다. 1.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중국 그리고 왜... 우선 위치부터! 아래 지도를 보고 각 나라의 위치부터 다시 확인해 볼까요? 제일 북쪽에 있는 나라는 어느 나라인가요? 남쪽이면서 동쪽에 있는 나라는요? 남쪽이면서 서쪽에 있는 나라는요? 가야는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세요. 이제 다른 나라를 찾아볼까요? '왜' 라는 나라는 지금의 일본이에요. 왜는 어디에 있나요? 중국은 어디에 있나요? 지도를 보며 각 나라의 위치를 확인해 봤죠? 이제 질문에 답해 보세요. 고구려가 백제나 신라를 공격하려면 동서남북 중 어느 쪽으로 가야 하나요? 백제가 고구려를 공격하려면 동서남북.. 2021. 9. 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4 삼국의 기초(6) - 철로 무기와 농기구를 만들다! (한능검) 1. 철로 무기나 농기구를 만들다! 이런 도구를 사용하던 시대를 구석기 시대라고 하죠. 돌을 떼어서 만든 뗀석기고요. 밀개랑 슴베찌르개예요. 돌 도구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신석기 시대가 왔죠.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고요. 돌괭이, 갈판과 갈돌입니다. 그리고 흙을 빚어 만든 빗살무늬토기입니다. 그러다 우연히 돌 속에서 금속을 발견하고는 이런 도구를 사용합니다. 청동기 시대가 온 거에요. 구리에 주석이나 아연을 섞고 불에 녹여 만든 청동기들이고요. 왼쪽부터 비파형 동검, 청동 방울, 청동 거울이에요. 청동기는 만들기가 어렵고 귀했어요. 그래서 농사 도구는 여전히 돌을 갈아서 만들었죠. 아래 사진은 청동시 시대의 대표적인 농사 도구인 반달 돌칼이에요. 그리고 청동기 시대에는 표면에 무늬를 새기지 않은 민.. 2021. 9. 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3 삼국의 기초(5) - 신라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한능검) 1. 신라의 탑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이전 포스팅에서 고구려의 불상과 백제의 탑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신라에서 만든 탑을 하나 살펴볼께요.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위 탑이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이에요. 그리고 '분황사'라는 절의 모습이에요. 터(땅)만 남아 있는 게 아니라 절이 있죠. 그래서 '분황사지'라 하지 않고 '분황사'라 했답니다. ^.^ 분황사는 '경주'라는 도시에 있어요. 경주는 경상북도에 있고요. 대충 이 위치랍니다. 두 지도를 비교해 보면, 경주가 신라 땅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은 신라에서 만든 탑이랍니다. ^.^ 그럼, 모전석탑은 뭘까요? 나무로 만들면 목탑, 돌로 만들면 석탑, 벽돌로 만들면 전탑이라 불러요. * 전탑 ⇒ 벽돌 전(塼) + 탑.. 2021. 9.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2 삼국의 기초(4) - 백제 정림사지 오층 석탑(한능검) 1. 백제의 탑 백제, 고구려, 신라는 불교를 널리 퍼뜨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절, 탑, 불상 등을 많이 만들었어요. 이번에는 백제에서 만든 탑을 하나 살펴볼께요. ^.^ [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 ] 위 탑은 백제에서 만든 탑이에요. 이름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 이고요. 탑 이름도 뜯어보기를 하면 쉬워진답니다. ^.^ --------------------------------------------- [교사] 선생님 왔다! [학생] 왜 이리 오래 걸리셨어요? [교사] 아... 선생님이... 변비가 좀... 선생님도 힘들어... T.T [학생] ㅋㅋㅋ 알았어요. 이번에는 탑 이름이에요.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이요. [교사] 좋아! 해 보자! 이름을 뜯어보기 전에 먼저 '탑'이 뭔지부터 알아.. 2021. 9.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1 삼국의 기초(3) - 고구려의 불상(한능검) 1. 고구려의 불상 -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백제, 고구려, 신라 모두 불교를 받아들여 왕의 힘을 강하게 만들었어요. 불교를 받아들여 모든 백성들이 새로운 종교인 불교를 믿게 하면, 이런 저런 신들에게 제사를 드리던 귀족들의 힘이 약해지죠. 그러면 자연스럽게 왕의 힘이 강해지니까요. 백제, 고구려, 신라 세 나라는 모든 백성들이 불교를 믿게 하려고 곳곳에 절, 탑, 불상 등을 만들었어요. 불상은 부처님의 모습을 담은 상이에요. * 불상 ⇒ 부처 불(佛) + 모양 상(像) 그리고 고구려의 대표적인 불상이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이에요. 위 불상은 고구려에서 만든 불상이에요. 이름은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이고요. 이름이 어렵죠? 이름 뜯어보기를 하면 많이 쉬워진답니다. ^.^ ----.. 2021. 9.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20 삼국의 기초(2) - 불교로 왕권 강화(한능검) 1. 율령은 만들었고, 또 만들어야 하는 게 있느냐? 삼국의 기초 다지는 이야기는 계속 됩니다. ^.^ ----------------------------------------- [왕] "와! 대박! 율령을 완성했다. 신하야 진짜 수고 많았다. 휴가 보내줄까?" [신하] "T.T 저도 가고 싶어요. 근데 또 있어요... T.T" [왕] "또 있어? 나라를 세우는 것도 힘들지만 튼튼하게 만드는 건 더 힘든 일이구나... 뭔데?" [신하] "불교를 꼭 받아들여야 해요... (힘 없는 목소리로~)" [왕] "불교? 받아들이면 되잖아. 근데 왜 꼭 불교야? 그리고 목소리에 왜 힘이 없어?" [신하] "우선, 불교를 받아들이면 백성들이 왕을 부처님이라 생각하고 잘 따르게 되는데요..." [왕] "오~ 그래! 좋네.. 2021. 8.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9 삼국의 기초(1) - 율령 반포(한능검) 1. 내가 새 나라의 왕이다! 왕이라고! 아래 이야기는 신라를 배경으로 해서 지어낸 이야기입니다. (근데... 실제로 이랬을 수도 있죠~ ^^!) ----------------------------------------- [왕] "드디어 나라를 세웠다. 내가 왕이 되었구나. 아~ 기쁘다. 이제 나라를 어떻게 다스릴지 신하랑 의논해야지. 신하야~~~" [신하] "네~ 부르셨어요?" [왕] "내가 불렀으니까 네가 왔지... 내가 왕이잖아. 이제 모두 내 말을 잘 듣겠지?" [신하]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아니요!" [왕] "뭐! 내가 왕인데 내 말을 잘 듣지 않을꺼라고? 왜!!!" [신하] "나라가 나라 같아야 말을 잘 듣죠. 입장 바꿔 생각해 보세요. 어느 날 갑자기 '내가 왕이다. 내 말을 들어라' .. 2021. 8. 2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