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연령(학년)별 공부 자료/초등 5~6학년1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5 삼국의 건국(1) - 고구려 건국 (한능검) 1. 고조선 다음에는 어떤 나라? 기원전 108년... 고조선이 멸망했어요... 중국(그 당시 중국에는 '한'이라는 나라가 있었어요~)의 침략을 받아 멸망했답니다... T.T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였던 고조선은 중국 한나라의 침략을 받아 멸망했지만! 곧바로 다른 나라들이 생겼답니다! (화이팅!!!) 아! 그런데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가 바로 세워진 건 아니에요. ^^! 다른 여러 나라들이 먼저 생겼고요. 나중에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만 남게 되었어요. 아래 지도는 가볍게 보세요. 고조선이 있었고요. 고조선의 멸망 후 여러 나라가 생겼다 사라졌고요. 고구려, 백제, 신라의 힘이 세졌답니다. ^.^ 초등학교 때에는 '고조선 다음으로 여러 나라들이 생기고 사라지면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만 남았.. 2021. 8. 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4 고조선(5) - 옷, 집, 영토 (한능검) 1. 고조선 사람들의 옷과 집 신석기 시대에 식물로 옷감을 짜서 옷을 만들어 입기 시작했는데요. 고조선 때가 되면서 옷 만드는 기술이 더욱 발전했어요. 아래 식물의 이름은 '삼' 이에요. 이 '삼'을 이용해 만든 옷감이 '삼베' 랍니다. 이렇게 생겼어요. 구멍이 크죠? 촉감은 까칠까칠해요. ^^ 그래서 여름에 입으면 시원하답니다. 고조선 사람들은 삼베로 옷을 만들어 입었어요. 아래 옷감은 비단이에요. 예쁘죠? ^.^ '비단'이라는 옷감은 어떤 실로 만들었을까요? 놀라지마세요~ 바로 이거랍니다! ^.^ 가운데에 있는 귀여운(?) 애벌레의 이름은 '누에'에요. 이 '누에'라는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할 때 하얀 거미줄 같은 것으로 자기 주변을 둘러 싸요. 이 번데기를 '누에고치'라고 부르고요. 위 하얀 거미줄 .. 2021. 8.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13 고조선(4) - 생활문화재 (한능검) 1. 나는 누구일까요? 나의 정체를 밝혀 보세요! Q 누구세요? A 제 이름은 농경문 청동기 입니다. Q 이름이 어렵네요... 언제 태어났나요? A 청동기 시대이면서 고조선 때 만들어졌습니다. Q 오래 되셨군요... 그 때 뭐 하셨어요? A 박달나무 아래에서 신에게 제사를 드릴 때 나무에 매달려 있었습니다. Q 네? 왜 나무에 매달려 있었나요? (원숭이도 아니면서...) A 신을 부르기 위해서였어요. 제사 드리는 신 오시라고요~ Q 아... 고생이 많으셨네요... 근데 신은 어떻게 부르셨나요? A 뒷면에 새를 새겼어요. 새는 하늘을 날아다니잖아요. 신에게 가까이 갈 수 있는 새를 새겨서 신께 보여드리면 오시지 않을까 바랬던 거겠죠? ^^! Q 네... 새가 많이 날씬하네요... 앞면에는 뭘 새겨 놓은 거.. 2021. 8.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2 고조선(3) - 단군왕검, 8조법 (한능검) 1. '단군왕검'은 고조선을 세운 왕의 이름이 아니에요! 그럼 뭐지? '왕'은 이름이 아니에요. 호칭이죠. 반장, 회장, 대통령 등도 모두 이름이 아니라 호칭이에요. '단군왕검'도 이름이 아니라 호칭이랍니다. 옛날에 나라를 다스렸던 분들을 '왕'이라고 부르잖아요. 싸움을 잘 한 왕도 있었고요. 한글을 만든 왕도 있었어요. 남자 왕도 있었고 여자는 여왕~ 고조선 때에 나라를 다스렸던 분들은 '단군왕검'이라 불러요. 싸움을 잘 한 단군왕검도 있었고요. 지배자의 자리에서 쫓겨난 단군왕검도 있었어요. '왕'이라는 호칭은 기원전 400년경부터 사용했답니다. 기원전 2333년경에 하늘신을 섬기는 부족이 곰을 섬기는 부족과 힘을 합쳐 고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웠고요. 하늘신을 섬기는 부족의 지배자가 고조선의 첫 번째로 .. 2021. 8. 3.
[초등한국사] 5학년 2학기 한국사 정체 파악하기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한국사 교과서가 달라졌는데요. 상황 파악을 해 보니.. 상당히 난감한 상황입니다. ​ 왜 이렇게 바꿔야 했을까요? 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가 봐도 난감한데요... ​ 일단 상황 파악부터 정확히 해야 합니다. 모든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문제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니까요. 1. 교과서가 어떻게 바뀌었나? ​ 아래 사진에서 왼쪽이 구 교과서이고요. 오른쪽이 새 교과서입니다. 구 교과서는 대단원이 3개였고요. 새 교과서는 대단원이 2개입니다. 대단원 3개가 2개로 줄어들었다고 해서 제가 호들갑을 떠는 건 아니고요. ​ 문제는... 구 교과서의 대단원 3개가 새 교과서의 대단원 1개로 합쳐진 것이 문제입니다. 즉 구 교과서 한 권 내용이 새 교과서의 대단원 1개가 된 .. 2021. 8. 2.
[초등한국사 공부법] 11 고조선(2) - 건국 이야기 해석하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겸) 1.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는 거짓이라고?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에 나오는 주요 등장 인물은 4명이에요. ^.^ 이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살펴 보겠습니다. ^.^ * 국가 ⇒ 나라 국(國) + 집 가(家). 국가는 나라와 같은 의미라고 봐도 좋을 듯 해요~ * 건국 ⇒ 세울 건(建) + 나라 국(國). 건국은 나라(국가)를 세운 거죠~ * 건국 이야기 ⇒ 나라를 세운 이야기죠~ ----------------------------------------------------- 환웅은 바람, 비, 구름을 다스리는 신하와 무리 3000여 명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에 있는 신단수 아래로 내려왔다. 환웅은 그곳을 신시라 부르고 곡식, 질병, 형벌, 선악 등 360여 가지나 되는 인간의 일을 .. 2021. 7. 30.
[초등한국사 공부법] 10 고조선(1) - 기원전 2333년이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겸)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세워졌습니다. '기원전 2333년'은 뭘까요? (올해는 2021년인데요~ ^.^) 1. 기원전과 기원후 년도는 위와 같이 '기원'을 기준으로 해서 기원전과 기원후로 구분합니다. 올해는 기원후 2021년인데요. 보통 '기원후'라는 말은 생략합니다. 단, '기원전'이라는 말은 생략하지 않습니다. '기원전' 몇 년인지 아니면 '기원후' 몇 년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그럼 기원은 언제일까요? ^.^ 2. 기원이란? 부처님께서 태어난 날은 석가탄신일입니다. 음력으로 4월 8일이죠. 예수님께서 태어난 날은 성탄절입니다. 크리스마스날이죠. 12월 25일입니다. 예수님께서 태어난 날(생일)은 12월 25일인데요. 예수님이 태어난 해는 언제일까요? ^.^ 예수.. 2021. 7. 26.
[초등한국사 공부법] 09 청동기 시대(4) - 고인돌과 고조선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겸) 1. 고인돌은 지배자의 무덤!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고인돌 중에서 규모가 큰 것은 지배자의 무덤일 거에요. 아래 사진은 여러 가지 고인돌 중 하나에요. 위 사진을 보면 받침돌 2개가 커다란 덮개돌을 고이고 있어요. '고이고 있다'는 건 어떤 물체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아래에서 받치고 있는 것을 말해요. 고인돌은 받침돌이 커다란 덮개돌을 고이고 있어 붙은 이름이에요. 그런데 규모가 큰 고인돌이 지배자의 무덤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고인돌 안에서 여러 가지 것들이 발견되었는데요. 사람의 흔적이 있었어요. 예를 들면 사람의 뼈 같은 거요. 그리고 토기랑 돌칼이랑 청동으로 만든 칼과 청동 거울 등이 발견되었어요. 이를 통해 고인돌은 죽은 사람과 그 사람이 쓰던 물건을 함께 묻은 무덤이라는 .. 2021. 7. 1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