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063

영어단어 쉽게외우기 4 - Dual과 Double, Duel, Dubious, Duplicate (수능영단어) 영어단어 쉽게외우기 4 -Dual과 Double, Duel, Dubious, Duplicate (수능영단어)   이전 포스팅에서 '둘(2)' 라는 뜻의 어원인 'Bi' 를 이용해 Bicycle, Bisect, Bilingual, Binomial 4가지 영어단어를 쉽게 외우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du~ 로 시작하는 영어단어에 대해 정리했습니다.du~ 는 라틴어 duplus, duo 등에서 유래했고요. '둘(two)' 이라는 의미를 갖는 영어 어근입니다.  영어공부에서 중요한 기초 능력 중 하나가 어휘력입니다.영어단어를 많이 알아야 한다는 거죠.​그래서 우리 부모 때에도 영어단어 공부를 진짜 열심히 했습니다.진짜 열심히 '외우고, 까먹고, 외우고, 까먹고, 외우고, 까먹고' 를 반복했.. 2024. 10. 28.
[초등수학 6-2] '4.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 교과서 핵심 개념 쉽게 이해하기 [초등수학 6-2] '4.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교과서 핵심 개념 쉽게 이해하기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수학 4단원은 '4. 비례식과 비례배분' 인데요.​1. 분수의 나눗셈2. 소수의 나눗셈3. 공간과 입체4. 비례식과 비례배분5. 원의 넓이6. 원기둥, 원뿔, 구​이 단원 교과서 내용의 핵심은 무엇일까요?이 단원 공부는 어느 정도까지 해야 할까요?​이 단원은 매우 중요한 단원입니다. 그런데 어렵습니다..교과서 개념도 어렵고요.개념이 어려워서, 문제도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더 신경 써서 공부해야 하고, 개념 공부부터 반복해서 해야 합니다.심지어 무조건 암기해야 하는 교과 내용도 있습니다. 어렵지만, 중요한 단원이므로, 더 집중해서 열심히 해야 하고요.우선 교과서 내용부터 제대로 한 다음에, 난.. 2024. 10. 28.
[초등수학 공부법] 개념공부 제대로 하는 사례 - 각도, 1도, 예각, 둔각 [초등수학 공부법] 개념공부 제대로 하는 사례 - 각도, 1도, 예각, 둔각    초중고 교육과정이 2022 개정교육과정으로 바뀌고 있습니다.대입안이 2028년 대입개편안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큰 변화가 오고 있고요.변별력 1위 과목은 수학입니다. 그런데 많은 아이들이 수학 공부를 하지만..잘 하는 아이들은 소수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요.그 중 하나가 기초 공부인 개념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각도란 무엇인가요? (각도의 개념 설명) 1도란 무엇인가요? (1도의 개념 설명) 예각은 무엇인가요? (예각의 개념 설명) 둔각은 무엇인가요? (둔각의 개념 설명)​ ​설명할 수 있는 아이가 있고, 대부분의 아이들은 설명하지 못합니다. ​설명하는 아이가 진짜 아는 아이이고요, 대부.. 2024. 10. 27.
[초등과학 공부법 3-2] 4. 소리의 성질 - 소리란 뭘까? 큰 소리란? 작은 소리란? [초등과학 공부법 3-2] 4. 소리의 성질 - 소리란 뭘까? 큰 소리란? 작은 소리란?    초등과학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초등과학 공부는 100점 맞기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아니, 적당히 하는 게 좋습니다.​​과학도 주요 과목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국영수 다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현실이 그렇습니다.​국영수 다지기에 과학 100점까지 공부하는 건,아이에게 너무 큰 부담을 주는 공부입니다.​대신 교과서 핵심 내용만큼은 제대로 공부해야 하는데요.​* 재미있는 나의 탐구1. 동물의 생활2. 지표의 변화3. 물질의 상태4. 소리의 성질​'4. 소리의 성질' 단원의 핵심 내용 중 하나는 '소리가 왜 나는지, 소리의 세기란 무엇인지' 입니다.그리고 초등과학 홈스쿨링에 도움 되도록 교과서 핵심 내용.. 2024. 10. 27.
[7세~초3 과학책 추천] 민들레 자연과학 동화 시리즈 [7세~초3 과학책 추천] 민들레 자연과학 동화 시리즈  이 책은 재미있는 과학 그림책입니다. 적정 연령은 초1~초2 로 보입니다. 책 잘 보는 7세도 도전해 볼만 하고요.과학책과 친하지 않은 초3이라면 편하게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우리 아이, 기왕이면 공부 잘 하는 게 좋은데요.. 가장 이상적이면서도 현실적인 대안 그리고 효율적인 대안은! 유치~초등 중학년 때 최대한 책을 많이 만나는 것입니다. (특히 사회, 과학, 역사 등의 비문학 영역 책) 5세~초등 3학년 시기에 사회와 과학 영역 책을 많이 보여주시라는 것! 그리고 쉬운책, 가벼운 책, 부담없는 책 위주로 많이 보여주시라는 것! 그래야 사회와 과학과 한국사가 쉽고 만만해 집니다. ^^ 2024. 10. 26.
[초등과학 공부법 4-2] 3. 그림자와 거울 - 빛과 그림자 (초등과학 홈스쿨링) [초등과학 공부법 4-2] 3. 그림자와 거울 -빛과 그림자 (초등과학 홈스쿨링)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과학 3단원은 '3. 그림자와 거울' 이고요.1. 식물의 생활2. 물의 상태 변화3. 그림자와 거울4. 화산과 지진5. 물의 여행  이 단원에 빛의 직진과 그림자가 나오는데요.교과서 내용을 사진과 함께 정리해 봤습니다. 교과서 내용은 이렇습니다.  빛이 나아가다가 도자기 컵, 책, 손과 같은 불투명한 물체를 만나면 빛이 통과하지 못해 진한 그림자가 생깁니다. 그러나 빛이 나아가다가 유리컵, 무색 비닐, OHP 필름과 같은 투명한 물체를 만나면 빛이 대부분 통과해 연한 그림자가 생깁니다.      빛은 사과나 딸기처럼 아주 구체적으로 보고 만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아이들 입장에서는 좀.. 2024. 10. 26.
[초등사회 공부법] 왜 사회 공부에서 체험이 중요할까? [초등사회 공부법] 왜 사회 공부에서 체험이 중요할까?   다른 과목도 그렇치만 사회 과목에서는 특히 체험 학습이 중요하다고 합니다.왜 그럴까요? "아기를 낳을 때 많이 아프고 힘들데~"이야기로만 들으면 (설명)'그런가보다...' 다른 사람이 아기 낳은 모습을 보면 (간접 체험)'정말 힘든가 보다...' 내가 직접 아기를 낳아보면 (직접 체험)남편이 생각납니다."아이 XX놈! 날 이렇게 힘들게 한 XX놈!"(진짜 그런가요? 전 남자라서 잘 몰라요? @.@)    사회라는 과목은 무엇을 학습하는 과목일까요? '사회'는 내가 살고 있는 공간 에 대해 학습하는 과목입니다.공간 중에서도 주로 인간이 만들어 놓은 '사회' 라는 공간에 대해 학습합니다. 우리 고장이 어떻고지방이 어떻고나라가 어떻고세계가 어떻고 정치.. 2024. 10. 25.
[초등독서논술] 독서가 만병통치약일까? [초등독서논술] 독서가 만병통치약일까?   독서력이 좋으면 공부를 잘 할까요?만약 그렇다면 독서는 공부의 충분조건입니다. 근데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물론 독서력이 좋으면 공부 잘 하는 데 많이 유리합니다.하지만 무조건 잘 하게 되는 건 아닙니다.그래서 독서는 공부의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입니다.       "우리 아는 책을 정말 많이 읽었어요. 국어 시험 잘 볼까요?" 아닙니다. 책만 많이 봤다면 대충 70~80점 정도 받을 거예요.90~100점까지 맞으려면 국어 문제집을 활용해야 합니다.시험 문제에 적응을 해야 하거든요.  "책도 많이 봤고, 문제집도 좀 풀렸어요. 그럼 시험 잘 볼까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아닌 경우는, 시험 대비를 좀더 체계적으로 해야 하는 아이입니다. 독.. 2024. 10. 25.
[유아독서] 4~6세 때에는 자연동화가 정말 좋아요! [유아독서] 4~6세 때에는 자연동화가 정말 좋아요!  유아~초등 시기의 비문학 책 중에는과학 영역의 책이 매우 다양한 편입니다. 이 시기 다양한 과학 영역의 책은'자연동화', '과학동화', '자연관찰', '원리과학', '심화과학'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물론 그렇게 구분하기 애매한 과학책도 있고,반드시 위와 같이 구분해야 하는 것도 아니지만,편의상 위와 같이 구분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4~6세 시기에는'자연동화'와 '과학동화'를 꼭 읽어주시기를 추천합니다. ^^     ​'자연동화'란 어떤 책일까요?왜 4~6세 때 접하면 좋은 책일까요? '자연동화'는 그 이름처럼 '자연을 소재로 한 동화'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연을 소재로 했기 때문에 등장 인물이동물일 수도 있고, 곤충일 수도 있고, 식물일 수.. 2024. 10. 24.
[독서와 문해력] 아이 성적은 읽기 능력이 좌우합니다~ [독서와 문해력] 아이 성적은 읽기 능력이 좌우합니다~ 중학교 3년 전교 1등을 유지한핵심 전략 중 하나는독서를 통해 읽기 능력과 습관 잡기 인데요.       1. 잘 읽으면 공부 잘 한다! 읽기능력이 성적을 좌우한다 합니다.즉, 잘 읽는 아이가 공부를 잘 한다 인데요.초등 입학 전 읽기 능력이 중요하다고 할 정도입니다.시기가 점점 아래로 내려왔습니다.이렇게 변한 이유가 있습니다.     2. 읽기 능력 관련 통계 자료! (1) 읽기 능력을 제대로 갖춘 아이는 몇 %나 될까? 대한민국 : 자기 나이보다 읽기 능력이 뒤쳐진 아이가 50% 이다. 두 명 중 한 명은 읽기 능력이 뒤쳐진 상태이다. 미국 :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38%가 평이한 수준의 아동 도서를 읽을 때 내용 이해를 하지 못한다. –> 미.. 2024. 10. 24.
728x90
반응형
LIST